2025/03/29 7

인생을 살아가면서 피해야 할 것과 함께해야 할 것 (병고와 불쾌감과 함께 하라)

너무 당연한을 하지는 않을 것이다.인생을 살아가면서 피해야 할 것에 대해선 어쩌면 당연한 말일 지 모른다.악행을 피해야 한다. 악행과 게으름을 피해야 한다. 악행은 고과를 일으키며, 게으름의 경우는    "게으름은 온갖 악의 근본이요,   게으르지 않음은 온갖 선의 근원이다."    이 같은 부처님으 가르침에 따르자면 피해야 하는 것이다. 그럼 무엇과 함께해야 하는가.물론 불법승 삼보님과 함께해야 할 것이다.중선봉행과 자정기의의 측면에 해당되는 공덕과 수행정은 함께해야 할 것이다.그런데 그것 뿐만은 아니다.인생을 살아가면서 함께해야 할 것.그것은 불쾌감이며, 병고이다.우리는 불쾌감을 싫어해서 피하려하고 없애려한다.병이 몸에 찾아오면 그것을 싫어해서 피해려하고 없애려한다.그러나 그런다고 그것이 단숨에 피해..

☆게으름과 정진에 관한 부처님 가르침들☆

"확고히 정진(精進)해 마음에 늘 번민하지 않는다면,   온갖 괴로움이 없어지고 구하는 일이 달성될 것이다."     (※ 번민 : 마음이 번거롭고 답답하여 괴로워하는 것※  확고히 : 태도나 상황 등이 확실하고 굳세게 내 경험상 게으름 피우면 게으름 피우는 그 순간에는 항상 마음이 번민하여 괴로움 속에 있게 되고확고히 정진할 때는 마음속에 번민이 없어 괴로움도 그 순간에는 찾을래야 찾을 수가 없다.)  홀로 행하고 게으르지 말며, 비난과 칭찬에도 흔들리지 마라.소리에 놀라지 않는 사자처럼그물에 걸리지 않는 바람처럼진흙에 더럽혀지지 않는 연꽃처럼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 숫타니파타 -    "만약 부지런히 정진(精進)하면 일에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너희들은 마땅히 부지런히 정진하는 ..

[법상스님의 업장소멸에 대한 글모음 2] 업장 소멸될까? 끝끝내 받아야만 할까?

https://moktaksori.kr/Writing-1/?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159786623&t=board 우주는 삼업(三業)을 저축하는 은행, 이자의 법칙 : 법상스님글모음또 한 가지 알아두어야 할 점은, 업은 늦게 받으면 늦게 받을수록 그 과보는 더욱더 커진다는 점이다. 은행 계좌를 생각해 보면 빠르다. 은행에 돈을 저축하고 시간이 많이 흐르면 흐를수록 거기moktaksori.kr https://moktaksori.kr/Writing-1/?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159906209&t=board 업장 소멸될까..

[법상스님의 업장소멸에 대한 글 모음 1] 악한 자가 복을 받고, 선한 자가 괴로운 경우

악한 자가 복을 받고, 선한 자가 괴로운 경우https://moktaksori.kr/Writing-1/?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159550164&t=board 악한 자가 복을 받고, 선한 자가 괴로운 경우 : 법상스님글모음『법구경』에서는 이렇게 이야기한다.‘악행의 열매가 익기 전에는 악한 자도 행복을 누릴 수 있다. 그러나 악행의 열매가 익을 때에 그는 큰 괴로움을 받는다.’그러니까 나쁜 짓을 많이 한 사moktaksori.kr  행복도 좋고 불행도 좋은 이유https://moktaksori.kr/Writing-1/?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

복수에 대한 법상스님 가르침 + 대장부의 삶

https://moktaksori.kr/Writing-1/?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159228919&t=board 아버지를 죽인 원수, 복수하고 말테다! : 법상스님글모음어떤 사람이 자꾸 나를 화나게 한다. 참고 참다가 울화통이 치밀어 올라 내가 저 사람을 어떻게 하지 않고서는 못 견딜 것 같다. 이때 사람들은 내 손으로 반드시 복수를 해야 공평하다고 생각한moktaksori.kr https://moktaksori.kr/Writing-1/?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159354742&t=board 제대로 복수하는 방법 :..

초기불교와 대승불교의 연기법에 대한 가르침

일부 초기불교론자들의 주장처럼 법신불은 힌두사상의 브라흐만 개념이 아니다. ‘금강경’ 구경무아분에서 부처님은 수보리 존자에게 ‘여래란 일체법이 한결같음을 가리킨다’고 하였다. 이는 우주만법의 한결같은 이치를 부처로 삼아야 한다는 뜻이다. 대승불교는 부처를 특정한 인물에게만 적용하는 것을 환영하지 않는다. 모든 법을 부처의 존재로 본다면 세상에 부처는 한량없이 존재하게 된다. 시기와 장소도 필요치 않다. 부처는 언제 어디서나 만법이 존재하는 한 항상 세상에 머물러 있게 되고 지혜를 얻기만 하면 누구라도 만나게 된다. 이른바 ‘시방삼세 상주일체 불타야중’ (時方三世 常住一切 佛陀耶衆)인 것이다.초기불교와 대승불교가 서로 다르게 부처를 보는 이유는 연기법에 대한 관점이 다르기 때문이다. 초기불교는 석가모니 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