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의 본질 = 삼독의 소멸 = 정견/살가야견(아상) 9

생각은 진짜가 아니기 때문에 - 법상스님

https://moktaksori.kr/Writing-1/?bmode=view&idx=13605266 아무 일 없는 자리 : 법상스님글모음모든 사람에게는 즐거운 일도 있고 괴로운 일도 있다.현실의 어떤 부분은 즐겁고 어떤 부분은 괴롭다.어떤 사람은 싫고 어떤 사람은 좋다.괴로운 일을 떠올리거나, 싫은 사람을 생각할 때는 갑moktaksori.kr

사실 이 우주법계는 너와 나의 구분이 없다. 그래서 증오도 용서도 나 자신에게 하는 것일 뿐이다. - 법상스님 법문

https://findthebrightroad.tistory.com/m/6734 사실 이 우주법계는 너와 나의 구분이 없다. 그래서 미워하는것도 용서하는것도 모두 사실 자신https://moktaksori.kr/Writing-1/?q=YToy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zOjQ6InBhZ2UiO2k6Mzt9&bmode=view&idx=150825466&t=board 복수할 것인가 용서할 것인가 : 법상스님글모음‘업보(業報)’라는 것도 마찬가지다. 악findthebrightroad.tistory.com

부정관 (탐욕을 대치하기 위하여 육신의 더러움을 관찰하는 수행)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B%B6%80%EC%A0%95%EA%B4%80 부정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부정관(不淨觀), 부정상(不淨想) 또는 악로관(惡露觀)은 음욕(婬欲) 등의 탐욕이 많은 사람이 그것을 대치하기 위하여 자신과 타인의 육신의 더러움[不淨]을 관ko.wikipedia.org팔리어 경전의 〈대념처경〉과 〈염처경〉에 나오는 신념처의 구체적 수행법은 총 14가지인데, 이들 중 6번째 수행법부터 마지막 14번째 수행법까지의 총 9가지가 관시법, 즉, 시체를 관찰하는 수행법이다.신념처의 수행법은 다음과 같다.1. 호흡의 출입에 대한 알아차림2. 몸의 상태에 대한 알아차림3. 몸의 행동에 대한 알아차림4. 몸을 구성하는 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