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승불교/보리심 25

보리도차제 _ 무량공덕을 쌓는 실천 / 작성자 : 유타

1. 삼보의 공덕을 떠올리며 귀의하기2. 삼보에 공양하기3. 자비심으로 중생을 삼보에 귀의하도록 이끌기4. 어떤 일을 시작할 때 삼보전에 아뢰고 공양을 올리며 삼보에 의지하여 이룰 것5. 하루에 세번씩 삼귀의 하기6. 삼보에 대한 귀의심을 버리지 않기. 1. 삼보의 공덕을 떠올리며 귀의하기 * 왜 삼보에 귀의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알기* 삼보의 특징에 대해서 생각하고 그 공덕에 귀의하기. 2. 삼보에 공양하기 *공양의 종류 (1) 색신에 공양 (불보살님의 색신에 공양함)(2) 불탑에 공양 (불탑에 공양함)(3) 실재적 공양 (오근이 감지할 수 있는 대상에 공양)(4) 비실재적 공양 (오근에 감지되지 않는 대상에 마음으로 공양 / 상상으로 공양)→ 실제 불상 뿐만 아니라 상상으로 수많은 불 보살님을 모시고 ..

제행무상과 효성심과 보리심

금생에는 원수일지라도과거생에는 그 원수가 사랑하는 부모님이었다.이게 어째서 가능한가 하면제행무상의 이치때문에 그렇다.필자가 배운 무상이란 이렇게 해석이 가능하다.영원한 적도 영원한 아군도 없다.사랑하던이가 적이될 수 있고적이 사랑하는 이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이 같은 이치에서 금생엔 원수더라도과거생엔 사랑하는 부모일 수 있는것이고정확히는 부모님일수 있는것이 아니라부모님이었다고 분명하게 말할 수 있다.왜냐하면 부처님이 일체중생은 과거생에 부모님이었다고 하셨기 때문이다. (불경에 나오는 이야기다.)고로 원수일지라도 사랑하고 자비심을 내야 하는것이다. 왜냐면 저들도 다 과거생에 내 부모님이었기 때문이다.

보리심을 내기 위한 방법을 구체적으로 자세하게 가르쳐줘 - 제미나이 답변

문 : 보리심을 내기 위한 방법을 구체적으로 자세하게 가르쳐줘답 : 보리심을 내는 것은 불교 수행의 핵심 목표 중 하나이며, 모든 중생의 깨달음을 향한 위대한 서원을 일으키는 것입니다. 보리심을 내는 것은 단번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꾸준한 수행과 노력을 통해 점차적으로 발전시켜 나가는 과정입니다. 구체적으로 보리심을 내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1. 보리심의 필요성 인식:고통의 인식: 세상의 고통과 중생들의 괴로움을 깊이 인식해야 합니다. 뉴스, 책, 또는 명상을 통해 세상의 아픔을 접하고, 그들의 고통에 진심으로 공감하는 마음을 키워야 합니다.무상과 무아의 이해: 모든 것은 변하고, '나'라는 고정된 실체는 없다는 것을 이해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개인적인 욕망과 집착에서 벗어나, 모든 중생을 위..

새해 복 많이 지으십시요!!! 복 많이 짓는 방법 소개! + 보리심과 공성에 대한 달라이라마 명설법! - 마하보디

https://m.blog.naver.com/tenzinpalden/222990829870 새해 복 많이 지으십시요!!! 복 많이 짓는 방법 소개~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남들이 위와 같은 덕담을 나에게 하더라도 나 자신이 쌓아놓은 복이 없으면 결코...blog.naver.com  + https://findthebrightroad.tistory.com/6621 달라이라마존자께서 매일 하시는 두 가지 수행은?https://blog.naver.com/tenzinpalden/222571829399?trackingCode=blog_bloghome_searchlist ★보리심과 공성을 같이 수행하면 강력한 힘이 있어 이기심을 없애고 이타심을 늘린다-달라이라아래 동영상은 자막을 넣어서findthebrightro..

온갖 사물을 살펴봄에 보리 아닌 것이 없다.

부처님께서 사리자에게 말씀하셨다."마치 의왕 가비가 대지를 두루 살펴봄에 온갖 초목 치고 약 아닌 것이 없듯이, 반야바라밀다를 수행하는 보살 역시 이와 같아 온갖 사물을 살펴봄에 보리 아닌 것이 없다."출처 : 불설해의보살소문정인법문경https://m.btn.co.kr/btncontents/daydetail.html?Serial=26955&page=1 (오늘의법문) 다시 보는 법문(127)부처님께서 사리자에게 말씀하셨다.m.bt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