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의 본질 = 삼독의 소멸 = 정견/전법 포교 5

내려놓음과 수행과 포교와 보살도의 관계성

http://www.hyunbu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416630 [전법일기] ‘전법포교’라는 수행의 길, 내려놓으니 비로소 보였다 - 현대불교안양에 포교당을 개원한 지 5년이 지났다. 스님들이 포교당을 개원할 때 많은 포부를 가지고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뜻대로 되는 경우가 얼마나 되겠는가? 개원하자마자 코로나19가 시작되었으www.hyunbulnews.com내려놓음, 받아들임이와 수행과 포교와 상구보리 하화중생의 보살도의 관계성에 대하여 고민해보게 된 좋은 칼럼입니다."오는 인연 막지 말고 가는 인연 붙잡지 마라""다가오는 인연이 있다면 받아들여라(막지 마라) 다 이유가 있다"위 칼럼에서 배운 수행의 지혜입니다.생활 즉 수행이어야 하니 제 인생에 있어서..

“포교가 수행, 수행이 포교입니다” - 불교신문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145693 “포교가 수행, 수행이 포교입니다” - 불교신문강수대 단장 제안, 82명 동참날마다 참선 독경 108배 정진자비 실천 생활화된 포교사들세 번째 맞이하는 부산 불자들의 재가안거 수행에 처음 동참한 두 단체가 있다. 포교사단 부산지역단(단장 www.ibulgyo.com

정토회의 수행관을 한국불교계가 모두 모델로서 배우고 적용해야 한다.

요즘 유튜브에 법문이 많이 올라온다. 좋은 현상이다. 그러나 법문만 많이 올라온다고 될 것이 아니다. 수행공동체가 활성화되어야 된다. 깨닫기 위해서 듣기만 하는 자는 1. 사유한 뒤 2. 실천 수행하는 두 가지 과정을 더 거쳐야 깨달을 수 있다. 그러나 수행하는 자는 곧장 깨달을 수 있다. 수행하는 자는 듣기만 하는 자보다 두 단계가 더 앞서있는 것이다. 부처님이 아난다존자보다 먼저 성불하신 이유도, 먼 과거생 스승이었던 제바닷다보다 먼저 성불하신 이유도, 부처님께서 미륵보살님보다 먼저 성불하신 이유도 모두 부처님의 실천 수행 정진력에 있다.부처님께서는 수행하지 않는다면 남의 소만 세는 목동일 뿐 자신의 소가 없는 경우와 같고 직접 스스로 수행을 해야 자기 소를 가지게 되는 것과 같다고 가르쳐주시지 않으..

침체한 일본불교, 젊은 스님들 중심으로 음악, 상담, 만화 통해 새로운 모색 [월드와이드불교]

https://www.youtube.com/watch?v=zr8B2116xrk  결국 자리이타 자각각타를 보다 크게 펼치기위해서 끊임없이 공부하고 수행하며 정진하고 배운바 내용을 육바라밀로 실천하는 것이 일본이든 한국이든 어는국가에서든 간에 불교를 다시 살리고 중흥시키는 길일 것이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