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교육 39

참교육이란 - 법상스님

https://moktaksori.kr/Writing-1/?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13352222&t=board [하루하루 명상언어] 2011.10.10 (3) : 법상스님글모음'이렇게 자라야 해', '엄마의 방식을 따라야 해', '너를 위해 이것이 최선이야', '아빠가 시키는 대로만 하면 돼'. 이런 고집이 강할수록 고통은 커질 수밖에 없다. 부모도 괴롭고 아이도 괴로워moktaksori.kr'이것이 옳다'거나, '이것이 최선'이라는 생각을 놓아버리고 마음을 활짝 열 때 참교육은 시작된다.- 법상스님 -

인문학/교육 2025.03.31

'전부 외운다' 세계에서 천재가 가장 많은 나라 인도의 남다른 교육 방법│한국은 아무것도 아니었다│세계의 교육현장 - 다큐

https://youtu.be/m-qGQ7BPwak?si=AlEAmWSZxEboKD94 이해가 선행된 암기면 오래감을 알았고, 암기가 공부실력 및 내용전달과 설득 등 수업및 강의능력을 키워주는 중요한 요소임을 알게해준 좋은 다큐. 경전을 우선 이해한뒤 암송하는 교육방식이 참 좋아보였음. 불경을 이해한 뒤 암송하는걸 학생들부터 성인들까지 모두 해본다면 좋을것이라 생각됨. 법구경이나 아함경 아님 금강경이나 숫타니파타 등을. (암기함에 있어 손동작 활용도 좋은 요소임을 알게 됨. 경전부터 학교수업내용, 개념서 교과서 등을 암기해보면 좋을 것 같다고 느낌. 그리고 암기에는 기존 지식과 연결짓고, 이야기로 외우는 것이 좋은 방식임을 알게 됨.)

인문학/교육 2024.06.20

한국의 대학서열화의 본질

사람들은 좋은대학 나쁜대학을 구분짓는다. 그리고 좋은대학 간사람은 머리가 좋고 뛰어나며, 그렇지 않은 사람은 머리가 나쁘고 떨어진다고 생각하는듯 하다. 하지만 실상은 그냥 공부 많이 했고 않했고의 차이다. 즉 공부량의 차이다. 다시말해 공부에 투자한 시간의 차이라는 말이다. 물론 단순히 공부량만이 실상의 전부는 아니다. 가장 기본적으로는 일반적인 초등학교 중학교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조건은 갖추고 있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공부를 할 때 집중하고 몰입할 수 있어야 암기도 잘할 수 있다. 불안하면 학습능력이 떨어진다. 그래서 거주지와 학교가 편안한가. 안정된 환경인가. 그리고 설령 학원은 못다니더라도, 문제집과 노트와 필기구를 살 경제력이 뒷받침되는가. 이런 조건들도 대학진학결과에 영향을 주는 조건들이다..

인문학/교육 2024.01.19

불교명언 마음의 등불 - [사랑하는 까닭] / 교육자로서 내가 가지고 싶은 마음 - 조건 없이, 모든 걸 사랑하는 부처님과 같은 마음

불교명언 마음의 등불 - [사랑하는 까닭] 내가 당신을 사랑하는 것은 까닭이 없는 것이 아닙니다. 다른 사람들은 나의 홍안[紅顔]만을 사랑하지만은 당신은 나의 백발[白髮]도 사랑하는 까닭입니다. 내가 당신을 그리워하는 것은 까닭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다른 사람들은 나의 미소만을 사랑하지만 당신은 나의 눈물도 사랑하는 까닭입니다. 내가 당신을 기다리는 것은 까닭이 없는 것이 아닙니다. 다른 사람들은 나의 건강만을 사랑하지만은 당신은 나의 죽음도 사랑하는 까닭입니다. -한용운-

인문학/교육 2023.0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