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의 본질 = 삼독의 소멸 = 정견/정진 - 게으름의 대치(정진의 순간만이 무상치 않다.)

☆게으름과 정진에 관한 부처님 가르침들☆

행복해지기 위한 가장 좋은 길 = 부처님 가르침 공부 2025. 3. 29. 15:02

<인생을 시원시원하게 살아요>

 

대결정심이란

'하기로 했으면 그냥 한다'는 뜻입니다.

어떠한 심리적 저항이 오더라도

털끝만큼의 핑곗거리도 두지 않는 겁니다.

마음이 내켜도 하고

마음이 안 내켜도 그냥 해봅니다.

이렇게 빈틈을 주지 않으면

처음에는 저항이 강하게 일어나다가

결국 물러납니다.

 

그러면 이 세상 어떤 일도

일단 하기로 마음먹고 난 다음에는

번뇌가 일어나지 않습니다.

그만큼 인생살이에 망설임이 적어집니다.

'한 번 해보자'하고 시작하기 때문에

긍정적이고 시원시원해지고

적극적인 삶의 자세를 갖게 됩니다.

 

- 법륜스님 -

 

 

  "확고히 정진(精進)해 마음에 늘 번민하지 않는다면,

   온갖 괴로움이 없어지고 구하는 일이 달성될 것이다."  

   <방불경(謗佛經)>


(※ 번민 : 마음이 번거롭고 답답하여 괴로워하는 것
※  확고히 : 태도나 상황 등이 확실하고 굳세게
 
내 경험상 게으름 피우면 게으름 피우는 그 순간에는 항상 마음이 번민하여 괴로움 속에 있게 되고
확고히 정진할 때는 마음속에 번민이 없어 괴로움도 그 순간에는 찾을래야 찾을 수가 없다.)
 
 
홀로 행하고 게으르지 말며, 비난과 칭찬에도 흔들리지 마라.
소리에 놀라지 않는 사자처럼
그물에 걸리지 않는 바람처럼
진흙에 더럽혀지지 않는 연꽃처럼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 숫타니파타 -
 


 부지런히 정진하라 


  "만약 부지런히 정진(精進)하면 일에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너희들은 마땅히 부지런히 정진하는 바 있어야 할 것이니,
   마치 작은 물도 끊임없이 흐르면 능히 돌을 뚫는 것과 같아서,
   끝없는 정진 앞에는 못 이룰 일이 없는 것이다.
 
   이와는 달리,
   만약 수행하는 사람의 마음이 자주 게으름에 빠져 수행을 중단한다면,
   마치 나무를 마찰해 불을 내려다가 열도 생기기 전에 그만두는 경우,
   불을 얻고자 해도 불가능한 것과 같아서, 소기의 목적은 이루어질 까닭이 없다. 

   이같이 끊임없이 노력하는 일을 정진이라고 한다."

 
   <유교경(遺敎經)>
 
 
"게으름은 온갖 의 근본이요, 게으르지 않음은 온갖 의 근원이다."
 
 <열반경(涅槃經)>
 
 
떨쳐 일어나야 할 때 일어나지 않고,
젊음만 믿고 힘쓰지 아니하고,
나태하며 마음이 약해 인형처럼 비굴하면
그는 언제나 어둠 속을 헤매리라.
 
- 법구경 -
 
 
(마음이 약하다  : 마음이 약하다는 표현은 마음이 굳건하지 않거나, 유약한 상태를 나타냅니다.

마음이 강하다 : 마음이 강하다라는 표현은 마음이 굳건하거나, 강인한 상태를 나타냅니다. - 출처 : 구글)
 
 
※ <떨쳐 일어나기 쉬운 법. 아침에 일어나거나 누워있다 일어나기 쉬운 법. 무슨 일이든 쉽게 시작하는 법. = 스몰스텝.>
스몰스텝이란 : 아침에 기상하기 어려우면 한번에 일어나서 세수하겠다는 목표가 아닌 목표를 세분화해서 아주 쉬운 목표를 잡는다. 그걸 하나식 해나간다. 1)돌아눕는다. 2) 앉는다. 3)무릎 궆혀 한쪽만 일으킨다. 4)일어선다. 이런 식으로. 철봉 하루 이십개식 하겠다는 목표가 아니라 매일 철봉 있는데까지 걸어갔다 오겠다. 매일 하나식만 철봉 하겠다. 이렇게 작게 목표를 잡으면 무슨일이든 하기쉽다. 매일 책 한권이 아닌 한페이지 내지 한줄식 읽겠다. 이런 식으로 목표를 잡는 것이다.

 
 
 
   온갖 공덕(功德)이 다 정진(精進)을 의지(依止)로 삼는다  
 

   "온갖 공덕(功德)이 다 정진(精進)을 의지(依止)로 삼으며,
   이 정진이 약한 마음을 전환시켜 주기도 한다. 
   만약 정진을 작용시키면, 조금도 이루기 어려운 것이란 없다."
 
   <복력태자인연경(福力太子因緣經)> 
 
 
   "확고히 정진(精進)해 마음에 늘 번민하지 않는다면,
   온갖 괴로움이 없어지고 구하는 일이 달성될 것이다."  
 
   <방불경(謗佛經)>
 
 
   "나후아수라왕(羅睺阿修羅王)이 비록 큰 힘을 가지고는 있어도,
   해와 달의 궤도에는 지장을 주지 못한다. 
   온갖 악마의 대군(大軍)도 마찬가지여서, 비록 큰 힘을 가지고 있기는 해도,
   부지런히 정진하는 보살의 깨달음에 이르는 길에는 지장을 주지 못한다." 
 
   <해의보살소문경(海意菩薩所問經)> 
 
 
   【註】
 
   의지(依止) : 의존하여 그것에 머무는 것.  의지함.
   나후아수라왕(羅睺阿修羅王) : '나후'는 Rāhu의 음사.  일식ㆍ월식을 일으키게
       하는 악마의 이름.  Rāhu는 amṛta라는 불사약을 먹는 중에 Viṣṇu라는 신에
       의해 목이 잘렸다.  그런데 불사약을 먹은 머리만이 영생을 얻어, Viṣṇu에게
       고자질을 한 태양과 달을 원망해, 일식ㆍ월식을 일으키게 한다는 것. 
 
출처 : https://m.cafe.daum.net/www.fragrantbuddhism/3nOU/1174?listURI=%2Fwww.fragrantbuddhism%2F3nOU
 

"용맹정진(勇猛精進)하여 일체지(一切智)를 얻기 위한 조도법(助道法)을 닦으며,
용맹정진하여 악마를 항복 받으며,
용맹정진하여 보리심(菩提心)을 일으키며,
용맹정진하여 온갖 중생을 구제해 생사의 바다로부터 벗어나게 하며,
용맹정진하여 온갖 악도(惡道)에 떨어뜨리는 여러 번뇌를 없애며,
용맹정진하여 무지(無智)의 산을 무너뜨리며,
용맹정진하여 모든 부처님을 공양(供養)해 싫증을 내지 않으며,
용맹정진하여 온갖 부처님의 가르침을 받아지니며,
용맹정진하여 온갖 장애(障碍)의 산을 파괴하며,
용맹정진하여 온갖 중생을 교화해 완성시키며,
용맹정진하여 온갖 부처님의 국토(國土)를 미화(美化)한다.
이런 방편(方便)으로 중생을 완성케 하는 것이다.

   <화엄경(華嚴經)>


   【註】

   용맹정진(勇猛精進) : 열심히 노력하는 것.  '용맹(勇猛)'과 정진(精進)은 범어로

       uttsāha의 역어(譯語)이다.  같은 말을 겹친 것이다.
   조도법(助道法) : 깨달음을 얻는 데 도움이 되는 수행 방법.
 

잘 것만 딱 자고 바로 일어나라는 것.

마음이 약해 인형처럼 비굴하지 않고
나태하지 않고

마음이 강하고 굳건하고 강인해서

딱 정한시간만자고 곧장 일어나라는 가르침을 비로자나부처님은 내게 끊임없이 주시고 있었다.

이걸 25.04.01에야 알아먹었다.

(게으름은 마음이 약해서 생기는 것이었다. 이것을 어제 파악했다. 알람소리듣고 한번에 못일어날 때의 심리를 잘 관찰해보라. 나는 이를 관찰한 뒤 내 마음이 약함을 알게되었고 그 뒤 마음을 굳건하고 강인하게 먹으니 알람소리가 들렸을 때 곧장 일어나기가 쉬워졌다.)

25.04.02.


<밑의 링크들에는 정진에 관한 다른 내용들이 더 담겨 있습니다.>
 
https://m.cafe.daum.net/www.fragrantbuddhism/3nOU/1180?listURI=%2Fwww.fragrantbuddhism%2F3nOU

 

게으름의 여섯 가지 이변(異變

11 게으름의 여섯 가지 이변(異變) "게으름[怠惰]에는 여섯 가지 이변(異變)이 있다. 여섯 가지란 무엇인가? 배부르면 일하지 않으며[飽不作], 배고프면 일하지 않으며[飢不作], 추우면 일하지 않

m.cafe.daum.net


https://m.cafe.daum.net/www.fragrantbuddhism/3nOU/1165?listURI=%2Fwww.fragrantbuddhism%2F3nOU

 

용맹정진(勇猛精進)

용맹정진(勇猛精進) "용맹정진(勇猛精進)하여 일체지(一切智)를 얻기 위한 조도법(助道法)을 닦으며, 용맹정진하여 악마를 항복 받으며, 용맹정진하여 보리심(菩提心)을 일으키며, 용맹정진하여

m.cafe.daum.net


https://m.cafe.daum.net/www.fragrantbuddhism/3nOU/1166?listURI=%2Fwww.fragrantbuddhism%2F3nOU

 

사정근(四正勤)

사정근(四正勤) "보살은 모든 악(惡)이 아직 생겨나지 않았을 경우에는, 그것이 생겨나지 않게 하기 위하여 부지런히 정진(精進)하는 마음을 일으켜 발심(發心)해 바로 끊으며, 모든 악이 이미 생

m.cafe.daum.net



https://m.cafe.daum.net/www.fragrantbuddhism/3nOU/1167?listURI=%2Fwww.fragrantbuddhism%2F3nOU

 

정진의 효력

정진의 효력 "이를테면 어떤 사람이 큰 강물에 자기 몸이 떨어지는 꿈을 꾸었다 하자. 그는 필시 강물을 건너가기 위해 큰 노력과 큰 정진(精進)을 할 것이요, 이런 큰 노력과 큰 정진 때문에 꿈

m.cafe.daum.net


https://m.cafe.daum.net/www.fragrantbuddhism/3nOU/1168?listURI=%2Fwww.fragrantbuddhism%2F3nOU

 

부지런히 정진하라

부지런히 정진하라 "만약 부지런히 정진(精進)하면 일에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너희들은 마땅히 부지런히 정진하는 바 있어야 할 것이니, 마치 작은 물도 끊임없이 흐르면 능히 돌을

m.cafe.daum.net


https://m.cafe.daum.net/www.fragrantbuddhism/3nOU/1169?listURI=%2Fwww.fragrantbuddhism%2F3nOU

 

정진하여 선정을 닦으라

정진하여 선정을닦으라 "비구(比丘)는 항상 정진하여 온갖 선정(禪定)을 끊임없이 익히도록 해야 한다.만약 선정을 얻은 사람은, 다시는 마음이 동요하지 않을 것이니, 마치 물을 아끼는 집에서

m.cafe.daum.net


https://m.cafe.daum.net/www.fragrantbuddhism/3nOU/1170?listURI=%2Fwww.fragrantbuddhism%2F3nOU

 

정진의 힘

11 정진의 힘 "정진(精進)이 보살의 정토(淨土)니, 보살이 성불(成佛)했을 때, 온갖 공덕(功德)을 부지런히 닦은 중생이 그 국토에 태어난다." 유마경(維摩經) "보살은 온갖 수행을 닦아 게으름이

m.cafe.daum.net

 

   "게으름은 온갖 악의 근본이요,

   게으르지 않음은 온갖 선의 근원이다."

   <열반경(涅槃經)>


https://m.cafe.daum.net/www.fragrantbuddhism/3nOU/1172?listURI=%2Fwww.fragrantbuddhism%2F3nOU

 

정진하면 무슨 소원인들 이루지 못하겠는가?

11 정진하면 무슨 소원인들 이루지 못하겠는가? "큰 바다도 한 사람이 말로 헤아려, 무한한 시일이 지나도록 그치지 않는다면 그 밑바닥을 보게 될 것이다. 하물며 사람이 지심(至心)으로 구도(求

m.cafe.daum.net


https://m.cafe.daum.net/www.fragrantbuddhism/3nOU/1173?listURI=%2Fwww.fragrantbuddhism%2F3nOU

 

정진력 때문에 부처님이 되는 것이다

11 정진력 때문에 부처님이 되는 것이다 "보살은 중생의 몸과 마음이 게을러 정진(精進)에서 멀어져 있음을 본 까닭에, 정진의 갑옷으로 자신을 치장하는 한편, 다시 중생으로 하여금 게으른 마

m.cafe.daum.net


https://m.cafe.daum.net/www.fragrantbuddhism/3nOU/1174?listURI=%2Fwww.fragrantbuddhism%2F3nOU

 

온갖 공덕(功德)이 다 정진(精進)을 의지(依止)로 삼는다

11 온갖 공덕(功德)이 다 정진(精進)을 의지(依止)로 삼는다"온갖 공덕(功德)이 다 정진(精進)을 의지(依止)로 삼으며, 이 정진이 약한 마음을 전환시켜 주기도 한다. 만약 정진을 작용시키면, 조금

m.cafe.daum.net

 
https://www.bulkwang.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489

 

[불교용어해설] 정진(精進) - 불광미디어

 한결같이 굳세게 선(善)에 힘쓰며 부지런한 마음의 상태를 정진이라고 하고, 또는 그와같이 힘써 행하는 행위를 정진이라고 한다. 정근(精勤)이라고도 한다.  불법이 허위에서 진실로, 그른 데

www.bulkwang.co.kr

 
https://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12277

 

생활속의 불교용어-정진 - 불교신문

“게으름 피우지 말고 공부에 정진해 보아라” “사업에 일심정진했더니 큰 성과를 얻었다”정력을 다하여 열심히 나아가는 노력을 의미하는 ‘정진’은 정성을 기울여 매진한다는 범어 ‘viry

www.ibulgyo.com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0966

 

정진(精進)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moktaksori.kr/Writing-1/?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140728144&t=board

 

[부처님말씀] 게으름은 죽음의 길 : 법상스님글모음

부지런함은 생명의 길이요 게으름은 죽음의 길이다.부지런한 사람은 죽지 않지만 게으른 사람은 죽은 것과 마찬가지다.항상 힘써 게으르지 않고 스스로를 자제할 줄 아는지혜 있는 사람은 홍수

moktaksori.kr

 
https://moktaksori.kr/Writing-1/?bmode=view&idx=13352193

 

집착 없이 행할 때 자유가 주어진다 : 법상스님글모음

미래를 계획하지 않으면 안 될 것 같은 조바심, 미리 준비하지 않으면 안 될 것 같은 불안감이 누구에게나 있을 것이다.어떻게 해야 할지에 대해 명확하게 답이 나오지 않을 때면, 더욱 더 불안

moktaksori.kr

 
 
 
  "확고히 정진(精進)해 마음에 늘 번민하지 않는다면,

   온갖 괴로움이 없어지고 구하는 일이 달성될 것이다."  

   <방불경(謗佛經)>


(※ 번민 : 마음이 번거롭고 답답하여 괴로워하는 것
 
내 경험상 게으름 피우면 게으름 피우는 그 순간에는 항상 마음이 번민하여 괴로움 속에 있게 되고
확고히 정진할 때는 마음속에 번민이 없어 괴로움도 그 순간에는 찾을래야 찾을 수가 없다.)
 
 
홀로 행하고 게으르지 말며, 비난과 칭찬에도 흔들리지 마라.
소리에 놀라지 않는 사자처럼
그물에 걸리지 않는 바람처럼
진흙에 더럽혀지지 않는 연꽃처럼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 숫타니파타 -
 

 

 부지런히 정진하라    


  "만약 부지런히 정진(精進)하면 일에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너희들은 마땅히 부지런히 정진하는 바 있어야 할 것이니,
   마치 작은 물도 끊임없이 흐르면 능히 돌을 뚫는 것과 같아서,
   끝없는 정진 앞에는 못 이룰 일이 없는 것이다.
 
   이와는 달리,
   만약 수행하는 사람의 마음이 자주 게으름에 빠져 수행을 중단한다면,
   마치 나무를 마찰해 불을 내려다가 열도 생기기 전에 그만두는 경우,
   불을 얻고자 해도 불가능한 것과 같아서, 소기의 목적은 이루어질 까닭이 없다. 

   이같이 끊임없이 노력하는 일을 정진이라고 한다."

 
   <유교경(遺敎經)>
 
 
"게으름은 온갖 의 근본이요, 게으르지 않음은 온갖 의 근원이다."
 
 <열반경(涅槃經)>
 
 
떨쳐 일어나야 할 때 일어나지 않고,
젊음만 믿고 힘쓰지 아니하고,
나태하며 마음이 약해 인형처럼 비굴하면
그는 언제나 어둠 속을 헤매리라.
 
- 법구경 -


 

 

(마음이 약하다  : 마음이 약하다는 표현은 마음이 굳건하지 않거나, 유약한 상태를 나타냅니다.

마음이 강하다 : 마음이 강하다라는 표현은 마음이 굳건하거나, 강인한 상태를 나타냅니다. - 출처 : 구글)
 
 

 
   온갖 공덕(功德)이 다 정진(精進)을 의지(依止)로 삼는다  
 

   "온갖 공덕(功德)이 다 정진(精進)을 의지(依止)로 삼으며,
   이 정진이 약한 마음을 전환시켜 주기도 한다. 
   만약 정진을 작용시키면, 조금도 이루기 어려운 것이란 없다."
 
   <복력태자인연경(福力太子因緣經)> 
 
 
   "확고히 정진(精進)해 마음에 늘 번민하지 않는다면,
   온갖 괴로움이 없어지고 구하는 일이 달성될 것이다."  
 
   <방불경(謗佛經)>
 
 
   "나후아수라왕(羅睺阿修羅王)이 비록 큰 힘을 가지고는 있어도,
   해와 달의 궤도에는 지장을 주지 못한다. 
   온갖 악마의 대군(大軍)도 마찬가지여서, 비록 큰 힘을 가지고 있기는 해도,
   부지런히 정진하는 보살의 깨달음에 이르는 길에는 지장을 주지 못한다." 
 
   <해의보살소문경(海意菩薩所問經)> 
 
 
   【註】
 
   의지(依止) : 의존하여 그것에 머무는 것.  의지함.
   나후아수라왕(羅睺阿修羅王) : '나후'는 Rāhu의 음사.  일식ㆍ월식을 일으키게
       하는 악마의 이름.  Rāhu는 amṛta라는 불사약을 먹는 중에 Viṣṇu라는 신에
       의해 목이 잘렸다.  그런데 불사약을 먹은 머리만이 영생을 얻어, Viṣṇu에게
       고자질을 한 태양과 달을 원망해, 일식ㆍ월식을 일으키게 한다는 것. 
 
출처 : https://m.cafe.daum.net/www.fragrantbuddhism/3nOU/1174?listURI=%2Fwww.fragrantbuddhism%2F3nOU
 

잘 것만 딱 자고 바로 일어나라는 것.

마음이 약해 인형처럼 비굴하지 않고
나태하지 않고

마음이 강하고 굳건하고 강인해서

딱 정한시간만자고 곧장 일어나라는 가르침을 비로자나부처님은 내게 끊임없이 주시고 있었다.

이걸 25.04.01에야 알아먹었다.

(게으름은 마음이 약해서 생기는 것이었다. 이것을 어제 파악했다. 알람소리듣고 한번에 못일어날 때의 심리를 잘 관찰해보라. 나는 이를 관찰한 뒤 내 마음이 약함을 알게되었고 그 뒤 마음을 굳건하고 강인하게 먹으니 알람소리가 들렸을 때 곧장 일어나기가 쉬워졌다.)

25.04.02.

 

 

<인생을 시원시원하게 살아요>

 

대결정심이란

'하기로 했으면 그냥 한다'는 뜻입니다.

어떠한 심리적 저항이 오더라도

털끝만큼의 핑곗거리도 두지 않는 겁니다.

마음이 내켜도 하고

마음이 안 내켜도 그냥 해봅니다.

이렇게 빈틈을 주지 않으면

처음에는 저항이 강하게 일어나다가

결국 물러납니다.

 

그러면 이 세상 어떤 일도

일단 하기로 마음먹고 난 다음에는

번뇌가 일어나지 않습니다.

그만큼 인생살이에 망설임이 적어집니다.

'한 번 해보자'하고 시작하기 때문에

긍정적이고 시원시원해지고

적극적인 삶의 자세를 갖게 됩니다.

 

- 법륜스님 -



+ 이외에도 정진과 관련된 이런 글들도 있습니다.
https://moktaksori.kr/Writing-3/?bmode=view&idx=5865928

 

스님! 현실과 이상, 무엇을 선택해야 할까요? : 법상스님글모음

[질문]안녕하세요^^ 삶의 갈림길에 서 있는 학생입니다.삶에 있어서 어떤 가치를 중시해야 하는지 스님께 조언을 구하고자 메일을 드립니다. 솔직히 말씀드려 저는 불교신자는 아닙니다. 다만

moktaksori.kr

https://moktaksori.kr/Writing-1/?idx=141757147&bmode=view

 

[부처님말씀] 절제하며 게으르지 말라 : 법상스님글모음

 생활의 즐거움만을 쫓아 구하고 모든 감관을 보호하지 않으며,먹고 마심에 정도가 없고, 마음이 게으르고 겁이 많으면,악마는 마침내 그를 뒤엎는다.바람이 약한 풀을 쓸어 넘기는 것 처럼.생

moktaksori.kr

https://moktaksori.kr/Writing-1/?idx=141266728&bmode=view

 

[부처님말씀] 선법을 닦지 못할 때가 있다 : 법상스님글모음

비유하면 어떤 사람이 물에 떠내려 가면작은 선도 닦아 익힐 틈이 없는 것 처럼,중생도 또한 그러하여거친 번뇌의 흐름에 떠내려 가다 보면선법을 닦아 익히지 못한다.[열반경]그나마 지금 이렇

moktaksori.kr

https://moktaksori.kr/Writing-1/?idx=140354116&bmode=view

 

[부처님말씀] 부처님이 책임지고 보증한다 : 법상스님글모음

너희는 삼계의 불난 집에 머무르기를 즐기지 말라.쓰레기 같은 색성향미촉을 탐내지 말라.만약 탐내고 사랑하는 마음을 내어 집착하면그 불에 타고 말리라.그러나 너희가 속히 삼계에서 나오면

moktaksori.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