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의 본질 = 삼독의 소멸 = 정견 221

불안한 마음은 없애려 하지 말아라

불안한 것도 자신 스스로가 지은 악업의 과보라고 입보리행론에 나온다. 그럼 불안할 때 내지 불편할 때는 어찌하는가 그 불안을 일으키는 외부 대상을 보지 말고 내 내면에 일어난 그 불안을 지켜보라. 그 불안 그 자체를 직시해라. 그래서 그 불안의 실체를 파악하라. 그럼 알 수 있으리라. 그 불안에는 고정불변하고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실체는 없다는 것을. 그 불안은 그저 일어났다가 머무르다가 사라지는 것이라는 것을. 불안에는 실체가 없다. 이를 알기 위해 불안 내지 불편한 감정을 직시해보라. 생각 느낌 감정 감각을 직시해보라. 이렇게 직시하고 지켜보고 바라보고 알아차리고 관찰하는 것이 수행이다. 두렵고 불안하고 불편하다고 싸우거나 도망치는게 아니라 그저 직시하고 관찰하는 제 3의 길. 이것이 부처님께서 가르쳐..

[자막] 불안을 이해하고 내려놓는 지혜ㅣ일묵스님ㅣ제따와나선원 일요소참 104.

https://www.youtube.com/watch?v=oPfGMHMg6YY[자막] 불안을 이해하고 내려놓는 지혜ㅣ일묵스님ㅣ제따와나선원 일요소참 104. 되게 많은 조건들이 얽혀서 이 세상이 움직이기 때문에 그 속에서 내가 원하는 방향대로 뭔가 이루어지기가 사실 어렵다. 이게 의미하는 것은 조건지어진 것은 변할 수밖에 없다. 그래서 항상 불확실성을 가지고 있다. 이것이다. 그래서 불안한 것이다. 이건 절대 변하지 않고 미래에도 너가 할 수 있어. 이런 건 없다는 것이다. 근데 이런 이치는 나에게도 세상에게도 적용된다. 나도 세상도 계속 변한다. 그래서 이 속에서 확실성을 찾을 수가 없다. 그런데 이런 불확실한 세상 속에서 안정과 확실함 이런 것을 추구하다 보니까 끊임없는 불만족이 생길 수 밖에 없는 것..

[마음씨가 행불행의 씨앗이다.] 보살은 항상 참는 법을 닦아

불자여, 나는 다음의 열 가지 깊은 마음을 낸다. 이른바 정직한 마음,부드러운 마음,참을성 있는 마음,억제하는 마음,고요한 마음,선한 마음,잡스럽지 않은 마음,미련을 남기지 않는 마음,넓은 마음, 큰 마음을 낸다. 출처 : 화엄경 만일 내가 노여워하는 마음을 일으킨다면 번뇌를 극복하지 못하게 되고, 진실하지 못하게 되고, 스스로에게 애착하게 될 것이다. 그런데 하물며 어떻게 남으로 하여금 환희한 마음을 일으켜 망집에서 벗어나게 할 수 있겠는가. 출처 : 화엄경 보살은 항상 참는 법을 닦아 겸손하고 공경하며, 스스로를 해치지 않고 남도 해치지 않으며, 스스로 집착하지도 않고 남도 집착하지 않게 하며, 스스로 취하지도 않고 남도 취하지 않게 한다. 출처 : 화엄경 중생은 사악한 마음을 품고 서로 시기하고 질..

증오를 뛰어넘는 법

이는 바로 정성이다. 정성의 마음가짐이란 억울하고 화나는 일이 발생했다면 업연과보, 업인과보의 법칙을 새기는 것이다. 더불어 정성을 들인다는 것은 목표가 존재할 때의 마음가짐이고 자세이다. 그렇기에 불자의 정성이란 부처님과 같이 행동하고 말하고 생각하고자 하는 것이며, 성불이란 목표, 불국토 건설이란 목표, 상구보리 하화중생 자리이타 자각각타란 목표, 이고득락이란 목표, 스스로를 비롯한 일체중생 모두가 진정한 행복과 자유를 성취하고자 하는 목표, 연기법 무상 무아 공 사성제 십이연기를 깨치고자 하는 목표, 사홍서원과 여래십대발원문을 성취하고자 하는 목표, 집착에서 벗어나 영원한 행복을 성취하고자 하는, 피안으로 건너가고자 하는 목표를 가질 때 일어나는 마음가짐이다. 마치 명인이 정성을 들여 물건이나 요리..

자기 마음을 평온하게 하는 건 인욕이다.

마땅히 착한 법을 자기 마음을 붙잡고, 착한 법으로 자기 마음을 적시고, 착한 법으로 자기 마음을 깨끗이 다스려라. 정진으로써 자기 마음을 굳게 하고, 인욕으로써 자기 마음을 평온하게 하고, 지혜로써 자기 마음을 깨끗하게 하고, 평등으로써 자기 마음을 너그럽게 하라. 출처 : 화엄경 https://m.btn.co.kr/btncontents/daydetail.html?Serial=26832&page=1 (오늘의법문) 다시 보는 법문(13)마땅히 착한 법을 자기 마음을 붙잡고, 착한 법으로 자기 마음을 적시고, ....m.btn.co.kr

인욕(忍辱) - 불광미디어 / 인욕 수행방법 & 가장 빠른 업장소멸 수행방법들

https://www.bulkwang.co.kr/news/articleView.html?idxno=5709 인욕(忍辱) - 불광미디어사람들은 나날이 황량하고 거칠어져만 가는 고통의 바다에서 표류하며 피로감을 느낀다. 그리고 이 피로와 슬픔을 보상받기 위해서 숱한 유흥과 소비의 탁류에 몸을 던지고 금전적인 문제, 마www.bulkwang.co.kr미움은 미움으로서 사라지지 않는다.미움은 오직 참음과 자비로써만이 극복되는 것이니 이 진리는 영원하리라.- 법구경 -  다음 글은 인욕수행방법과 가장 빠른 업장소멸 수행법에 대하여 설명해주는 좋은 법문이니 꼭 읽어보셨으면 좋겠습니다. https://blog.naver.com/dhammatruth/223055970602 업장(業障)과 업장소멸(業障消滅)의 구체적 방..

두려움 없애는 방법.

원융과 법계의 본질은 자비임을 믿으면 두려움이 사라진다. 법과 계율에 의지해서 즉 경율을 스승삼아서 악업만 안짓는다면 날로 향상해서 필경 성불하게 될 수밖에 없으리라. 고로 경율을 스승삼아 복혜쌍수하자. 세부적으로는 인욕 지계 실천하는게 스스로에게(정확히는 자타에게 모두) 편안함을 주는 무외시니, 보복 복수하려는 생각을 버리고(인욕) 성내지 않으면(지계 - 십선계 - 불진에) 내 마음이 편안해진다. 화내면 먼저 내가 괴롭고 복수심 진심 버리면 내가 먼저 편안해진다. 용서도 그래서 하는 것이리라. 내 마음 편안해지기 때문에. 필자에게 정토법문을 설해주신 스승께서 예전.. 2019년도에 필자에게 해주신 감로와 같은 법문이 있다. "누가 날 괴롭히거나 화나게 하면 무시해버리세요~ 그리고 나서 나는 염불하면 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