九. 一相無相分
9. 일상무상분
須菩提 於意云何 須陀洹 能作是念
수보리 어의운하 수다원 능작시념
我得須陀洹果不 須菩提言 不也 世尊 何以故
아득수다원과부 수보리언 불야 세존 하이고
須陀洹 名爲入流 以無所入
수다원 명위입류 이무소입
不入色聲香味觸法 是名須陀洹 須菩提
불입색성향미촉법 시명수다원 수보리
於意云何 斯陀含 能作是念 我得斯陀含果不
어의운하 사다함 능작시념 아득사다함과부
須菩提言 不也 世尊 何以故
수보리언 불야 세존 하이고
斯陀含 名一往來 而實無往來 是名斯陀含
사다함 명일왕래 이실무왕래 시명사다함
須菩提 於意云何 阿那含 能作是念
수보리 어의운하 아나함 능작시념
我得阿那含果不 須菩提言 不也 世尊
아득아나함과부 수보리언 불야 세존
何以故 阿那含 名爲不來 而實無不來 是故
하이고 아나함 명위불래 이실무불래 시고
名阿那含 須菩提 於意云何 阿羅漢 能作是念
명아나함 수보리 어의운하 아라한 능작시념
我得阿羅漢道不 須菩提言 不也 世尊 何以故
아득아라한도부 수보리언 불야 세존 하이고
實無有法 名阿羅漢 世尊 若阿羅漢 作是念
실무유법 명아라한 세존 약아라한 작시념
我得阿羅漢道 卽爲着我人衆生壽者 世尊
아득아라한도 즉위착아인중생수자 세존
佛說我得無諍三昧人中 最爲第一
불설아득무쟁삼매인중 최위제일
是第一離欲阿羅漢 世尊
시제일이욕아라한 세존
我不作是念我是離欲阿羅漢 世尊
아부작시념아시이욕아라한 세존
我若作是念 我得阿羅漢道 世尊
아약작시념 아득아라한도 세존
卽不說須菩提是樂阿蘭那行者
즉불설수보리시요아란나행자
以須菩提實無所行 而名須菩提是樂阿蘭那行
이수보리실무소행 이명수보리시요아란나행
금강경 제 9분에 념이라는 말이 많이 나옵니다. 한 훌륭하신 선사스님께서 제게 번뇌란 생각이라고 해주셨습니다. 법륜스님 역시 즉문즉설을 하실 때 생각이란 낱말을 종종 말씀하시고는 합니다. 생각. 생각. 이 념은 생각이죠. 금강경에서의 상이란 언어와 형상을 지칭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우리의 정신작용 중 생각이 결국 언어와 형상으로 이뤄져있죠. 그리고 재밌는 것은 이 언어와 형상이 지칭하는 것은 현실에는 존재하지 않는 것이라는 것입니다. 언어와 형상이 지칭하는 것은 실체입니다. 고정불변하고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실체 말입니다. 하지만 현실에는 고정불변하고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실체는 없습니다. 왜냐하면 현실의 실상은 연기법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현실에서 나타나는 현상은 제행무상이고 제법무아입니다. 하지만 고정불변함과 독립적으로 존재함은 각각 무상과 무아에 반대되는 것이죠. 이런 실체는 현실에는 없습니다. 그럼 어디에 있을까요. 네. 인간의 생각속에서만 존재합니다. 그럼으로 이런 실체는 관념이고 생각이고 망상이고 반야심경의 표현을 빌리자면 헛된생각이라 번역할 수 있는 전도몽상이라 할 수 있죠. 이 같은 헛된 실체를 지칭하는 것이 언어와 형상이고, 그 언어와 형상으로 이뤄진 것이 바로 상입니다. 생각이죠. 그래서 한 선사 스님께서는 제게 번뇌란 생각이라는 법문을 해주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이 생각을 념이라고 표현할 수도 있지 않겠는가. 이런 생각이 듭니다. 금강경 제 9분에는 념이란 말이 많이 나옵니다. 수다원이 내가 수다원이 되었다는 생각을 하겠느냐? 사다함 아나함 아라한도 마찬가지로 자신이 사다함 아나함 아라한이 되었다는 생각을 하겠느냐? 수보리존자께서는 부처님의 이 같은 질문에 그렇지 않습니다 세존이시여. 라고 답합니다. 그리고 이후 왜냐하면 수다원 사다함 아나함 아라한에 해당하는 실체가 없기 때문이라는 답변을 비유적으로 덧붙이십니다. 결국 생각이 문제인 것 같고, 생각이 번뇌인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오늘 금강경을 읽는데 이 '념' 이란 단어가 유독 눈에 들어오더군요. 물론 생각 자체가 문제인 것은 아닐 것입니다. 그리고 일상을 살아가려면 생각을 해야 될 때도 분명히 있을 수도 있지 않겠는가 하는 생각도 듭니다. 다만 수행적으로는 언어와 형상으로 이뤄진 이 생각이란 놈을 떨쳐버리는 것이 필요하지 않겠는가. 생각은 언어와 형상으로 이뤄져서, 그 생각이란 프레임, 그 생각이란 색안경, 그 생각이란 틀로 세상을 바라보면 결국 세상은 나와 너가 구분되있고 이것과 저것이 구분되있고, 나뉘어있고, 차별되어있고, 각각이 개별적으로 독자적 독립적으로 존재하고, 각각이 고정불변하고 영원불멸한 실체라고 보는 것인데, 실상은 연기법이지 않습니까. 이것이 있으므로 저것이 있고 저것이 있으므로 이것이 있고, 이것이 없으므로 저것이 없고, 저것이 없으므로 이것이 없고. 이것이 생기므로 저것이 생기고, 이것이다하므로 저것도 다한다. 이것이 부처님께서 말씀해주신 연기법 아닙니까. 법륜스님은 사람들이 연기법을 인식하긴 어렵지만 실상은 연기법이며 실상은 모든 것이 서로 서로 연관되어져 있다고 말씀하셨습니다. 물론 법륜스님 뿐만이 아닌 부처님 가르침 자체가 그렇고 불교 자체가 그런 내용이죠. 여하튼 그래서 오늘 이 생각을 없이 기도에만 집중하고자 해 보았습니다. (그리고 여담인데 제가 직장생활을 할 때 생각이 없이 일에만 집중할 때는 타인들이 저를 존중해주고 인간관계가 원만한데 생각에 빠져있을 때는 인간관계에 끼긱 끼긱 스파크가 튀기고 잡음이 생기려는 듯 함을 요즘 많이 느낍니다. 그런 상태가 지속되면 핀잔을 듣거나 그런 일이 발생되기도 했죠.) 아상 인상 등을 갖지 않고, 나 너 이런 생각 갖지 않고, 일어나는 감정과 나를 구분지으려 하지 않고.
또한 생각과 감정이란 무의식에서 일어나는 것이니, 법륜스님의 가르침을 따르자면 이것이 바로 업식이고 불교에서 마장이라고 의인화하는 현상인데, 이 현상 따라가지 않고 생각이 없이. 생각을 따라가지 않고. 한생각 일어나기 이전 상태. 그 상태에 바로 하고자 하는걸 해버리는 것이 지혜롭다는(제가 즉문즉설을 들으며 이해한 바입니다.) 가르침을 응용해서 생각과 느낌 감정들이 일어남에도 불구하고 그걸 따라가지 않고 눈앞에 보이는 독경 전문을 읽는데만 집중했습니다. (일할때도 눈앞의 할 일에 생각 없이 그저 행하는 데 집중했던 경험이 있는데 이 경험이 기억나서 이 경험을 응용해 본 것입니다.)
오늘 저는 기도 수행을 이런식으로 했고, 그러니 마음이 원만함을 경험했습니다. 이 밑에도 념자란 글자가 금강경에 많이 나오죠. 결국 무아법에 통달하기 위해서는 이 생각을 버리는 과정이 필요할 듯 합니다. 생각이 체가 있어서 그걸 잡고 쓰레기통에 버린다거나 하는 버림이 아니라, 그냥 일어나는 생각은 헛됨을 자각하고, 그걸 따라가지 않고 수행의 대상이나 업무의 대상에만 집중하는 연습을 해봐야 되겠다는 것입니다.
'불교와 인문 북리뷰 블로그 칼럼 > 금강경과 반야심경 관련 해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꿈에는 이름 붙일 것이 없다. (0) | 2025.05.05 |
---|---|
판단중지 이름붙이기중지 (0) | 2025.05.04 |
세세생생 쌓아온 공덕과 길가의 개똥 몇개는 차이가 없다. (0) | 2025.04.17 |
알갱이가 없다. (0) | 2025.04.17 |
진리에도 집착할 이유가 없어요~ (4) | 2025.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