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념삼천 2

제악막작 중선봉행 자정기의 해야 하는 이유는? 수행을 하고 도를 닦아야 하는 이유는? (마음속에 일체의 악을 품지 말고 마음속에 일체의 선을 갖고 마음을 공적하고 청정하게 일체의 집착과 무명망념 없이 맑혀야 하는 이유는?)

마음속에 일체의 악을 품지 말고 마음속에 일체의 선을 갖고 마음을 공적하고 청정하게 일체의 집착과 무명망념 없이 맑혀야 하는 이유는? 즉 제악막작 중선봉행 자정기의 해야 하는 이유는? 수행을 하고 도를 닦아야 하는 이유는? 일즉다 다즉일이기 때문이다.인드라망이기 때문이다.모든것은 모든것과 서로서로 연결되어있기 때문이다.하나 가운데 모든것이 들어있고, 모든 것 가운데 하나가 들어있기 때문입니다.하나는 모든 것에 영향을 주고 모든 것은 하나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하나가 품는 마음은 그 마음을 먹는 순간 이미 법계 삼라만상 두두물물 모든 현상에 이미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그래서 마음속에 일체의 악을 품으면 안되고, 그래서 마음속에 일체의 선을 함양해야하고그래서 마음 속에 일체의 집착과 무명망념조차 갖지 않고..

분노&불안&두려움이 일어나는 경계에 놀아나지 않는 법

https://findthebrightroad.tistory.com/6596 실체시 할 때 원융(상의성)이 발생한다. 그 실체시한 것을 탐착하면 고과가 따라온다. 그럼으로제목 : 실체시 할 때 원융(상의성)이 발생한다. 그 실체시한 것을 탐착하면 고과가 따라온다. 그럼으로 근본적으로 실체시하게된 대상의 공성을 꽤뚫어 알자.  실체시 할 때 공덕천findthebrightroad.tistory.com위 글은 탐욕이란 감정과 탐욕이 일어나는 경계에 놀아나지 않는 방법을 서술해 두었다. 이젠 분노와 불안과 두려움이란 느낌과 분노가 일어나는 경계에 놀아나지 않는 법다시말해서 분노에 끄달리지 않는 방법을 소개하려 한다. 사실 이치는 탐욕에 놀아나지 않는 방법과 동일하다. 헛깨비라고 생각하면 된다.헛깨비라고 생각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