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식 3

허무주의의 원인과 극복방법 - 중도 (이외에도 화엄사상 및 중관 천태 유식사상과 보리심 관련 문답내용이 담겨있습니다.)

허무주의의 원인과 극복방법 - 중도 (이외에도 화엄사상 및 중관 천태 유식사상과 보리심 관련 문답내용이 담겨있습니다.) 불교에서는 현상의 실상을 통류 라고 하는 걸로 알고 있어. 함께 흐른다는 뜻을 담고 있는 단어로 알고있는데. 맞아? 일즉다 다즉일을 설명할 때 일체 삼라만상이 하나 안에 침투해있다는 표현보다는, 함께 흐른다고 풀어내는 것이 보다 중도적이라고 배웠는데. 너는 어떻게 생각하니?   네, 말씀하신 것처럼 불교에서 현상의 실상을 "통류(通流)"라고 표현하는 것으로 이해하시는 것이 맞습니다. "함께 흐른다"는 의미를 담고 있는 이 단어는 불교의 핵심 사상 중 하나인 연기(緣起)와 깊이 연결되어 있습니다.통류와 연기:연기란 "이것이 있으므로 저것이 있고, 이것이 생하므로 저것이 생한다"는 가르침입..

중국불교사 - 현장 법장 혜능스님 ( 화엄종과 선종은 어떻게 다를까? - 불교교육 특강4)

https://youtu.be/pzuzWt3Ydmg중국불교사 - 현장 법장 혜능스님 ( 화엄종과 선종은 어떻게 다를까? - 불교교육 특강4)현장스님, 현수 법장스님, 6조 혜능스님에 대한 강의입니다. 이 세분의 스님들은 모두 당나라 시대의 스님들이십니다. 중국에는 수나라 이후 당나라가 들어섭니다. 수나라에는 천태교관(천태종)을 세우신 천태 지자스님이 계셨고, 이후 당나라가 들어서며 현장스님이 인도 유학을 다녀온 후 불교의 기틀을 세워 불교 수준을 확 끌어올리셨습니다. 현장스님은 불교경전을 여러권을 번역하셨다고 합니다. (그리고 찾아보니 현장스님의 제자 규기스님이 법상종을 조직하셨다고 합니다.) 이후 당나라의 측천무후 즉위시절 화엄종의 현수 법장스님이 이름을 날립니다. 이 현수 법장스님의 사형이 법성게를 ..

법문 2023.08.12

“이고득락 요익중생이 곧 佛法” < 전체 < 종합 < 기사본문 - 현대불교신문

https://www.hyunbu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300077 “이고득락 요익중생이 곧 佛法” - 현대불교신문본래 강의주제가 한국불교와 간화선이었지만 다른 얘기를 해볼까 합니다. 불교에서는 유식(唯識)사상을 빼놓을 수 없는데요. 얼핏 들어본 것 같지만 정확하게 유식을 이해하는 사람은 드뭅니다www.hyunbul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