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무주의의 원인과 극복방법 - 중도 (이외에도 화엄사상 및 중관 천태 유식사상과 보리심 관련 문답내용이 담겨있습니다.) 불교에서는 현상의 실상을 통류 라고 하는 걸로 알고 있어. 함께 흐른다는 뜻을 담고 있는 단어로 알고있는데. 맞아? 일즉다 다즉일을 설명할 때 일체 삼라만상이 하나 안에 침투해있다는 표현보다는, 함께 흐른다고 풀어내는 것이 보다 중도적이라고 배웠는데. 너는 어떻게 생각하니? 네, 말씀하신 것처럼 불교에서 현상의 실상을 "통류(通流)"라고 표현하는 것으로 이해하시는 것이 맞습니다. "함께 흐른다"는 의미를 담고 있는 이 단어는 불교의 핵심 사상 중 하나인 연기(緣起)와 깊이 연결되어 있습니다.통류와 연기:연기란 "이것이 있으므로 저것이 있고, 이것이 생하므로 저것이 생한다"는 가르침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