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승불교/반야경 공부 - 금강경과 반야심경 등 65

[출처] 금강경 16. 능정업장분[能淨業障分] - 능히 업장을 정화하다 | 작성자 마하보디

https://blog.naver.com/tenzinpalden/222113824357?trackingCode=blog_bloghome_searchlist 금강경 16. 능정업장분[能淨業障分] - 능히 업장을 정화하다復次 須菩提 善男子 善女人 受持讀誦此經 若爲人輕賤 是人 先世罪業 應墮惡道 부차 수보리 선남자 선여인 ...blog.naver.com

무주상보시(無住相布施) = 상에 머무는 바 없이 보시하라 = 결과를 생각하지 말고 순수하게 보시하라

https://moktaksori.kr/Writing-1/?bmode=view&idx=151465014 주는 것 = 받는 것 : 법상스님글모음‘주는 것’은 곧 ‘받는 것’을 의미한다. 남들에게 물질적으로 나누어 준다는 것은 내가 물질적으로 풍요로워진다는 것과 다르지 않다. 그런데 우리는 내보내는 것, 자비를 나누는 것, 사랑을moktaksori.kr

[출처] 밀라레빠 140. 공성(空性)의 지혜는 논리와 생각으론 알지 못하네.|작성자 마하보디

https://blog.naver.com/tenzinpalden/222423316108?trackingCode=blog_bloghome_searchlist 밀라레빠 140. 공성(空性)의 지혜는 논리와 생각으론 알지 못하네.정견은 공(空)의 지혜요, 수행은 무 집착의 깨달음이요, 정행은 무욕(無欲)이 영원한 놀이요, 성취는 위대...blog.naver.com

[펌][가짜,헛깨비,일체유심조] 대지도론 827. 無受無著 : 받아들이지도 말고, 집착도 하지 말라.

https://m.blog.naver.com/tenzinpalden/223054057450 대지도론 827. 無受無著 : 받아들이지도 말고, 집착도 하지 말라.제법개공이요, 일체개공입니다. 그래서 그 어디에도 실체/자성이 없습니다. 그러므로 무수무착[無受無著]해...blog.naver.com나도 허깨비고,남도 허깨비입니다.​일체유심조...근데 마음은 자기가 믿는대로 되는지라,​허깨비를 진짜라고 여기면진짜처럼 느껴지기에 집착하게 되지요.​속는 겁니다.- 마하보디스님 법문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