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beopbo.com/news/articleView.html?idxno=52369
[원종 스님의 보현행원품 강설]⑩회향의 공덕 - 법보신문
선남자여, 또한 지은 공덕을 널리 회향한다는 것은, 처음에 부처님께 예배하고 공경하는 것으로부터 중생을 수순하는 것까지의 모든 공덕을 진법계 허공계 일체 중생에게 남김없이 회향하여,
www.beopbo.com
https://m.blog.naver.com/buddhafind/220429887131
회향이란 무엇이며 어떤 의미가 깃들어 있나
회향이란 무엇이며 어떤 의미가 깃들어 있나 회향(廻向)이란 자신의 ...
blog.naver.com
< 월호스님 강의: 제40회 보현행원품⓾ / 普皆廻向願 : 모두 널리 회향하라
행복한 삶을 위해 : 네이버 블로그
인간은 누구나 삶을 살아간다. 행복한 삶을 사느냐 그저 그런 삶을 사느냐는 자신의 몫이다. 행복한 삶은 그저 얻는 것이 아니다. 자신을 찾고 자아를 실현하며 남과 더불어 살아갈 때 인간은 만
blog.naver.com
회향이란 무엇이며 어떤 의미가 깃들어 있나
회향(廻向)이란 자신의 공덕을 돌려서 밖으로 향하는 것으로서,
특히 자기가 행한 선근을 돌려 일체중생의 깨달음을 위해 되돌려주는 것을 뜻합니다.
구체적으로 회향이라 할 때 회(廻)는 돌리는 것을 의미하고 향(向)은 그쪽으로 향하게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중생과 자신의 깨달음을 위해 스스로 행한 선을 돌려 향하는 모든 것을 회향이라 합니다.
간혹 죽은 이를 위해 하는 추도도 회향이라 합니다.
반야공사상의 입장에서는 회향자도 회향법도 회향처도 없는 곳에 진정한 회향이 있다고 강조합니다.
《소품반야경》 《회향품》에서는 법도 법에 회향한다는 것도 없을 때
이것을 아뇩다라삼막삼보리에 회향한다고 하여 회향의 의미를 모든 집착을 버린 공의 의미로 해석합니다.
중국의 혜원스님은 회향을 세 종류로 구별하여 설명합니다.
즉 자신이 닦은 선을 깨달음을 얻는데 돌리는 것을 보리회향(菩提廻向)이라 하고,
자신이 닦은 착한 공덕을 다른 중생을 이익하게 하는데 돌리는 것을 중생회향(衆生廻向)이라 하며,
자신이 닦은 선근을 평등의 진리에 돌려 하나하나의 선이 진여법성(眞如法性)의 현현이라고 관하여
평등법신의 진리를 깨닫는 것을 실제회향(實際廻向)이라 합니다.
정토교에서는 회향의 의미를 칭명이나 염불을 통해 공덕을 정토로 되돌려가는 것이라 합니다.
곧 자신의 공덕을 중생에게 돌려 더불어 아미타불정토에 왕생하려고 원하는 것을 왕생회향(往生廻向)이라 하고
정토에 태어난 후 다시 이 세상에 돌아와 중생을 교화해 정토로 향하도록 해주려는 것을 환상회향(環相廻向)이라고 합니다.
이렇듯 회향의 의미는 자신이 닦은 착한 모든 행동과 마음을 진실한 법에 따라 중생에게 돌려
중생 또한 깨달음의 세계로 향하게 하는 것입니다.
- 목야스님 -
출처 : https://m.blog.naver.com/buddhafind/220429887131
내가 지은 공덕은 나의 것이 아니요, 내가 받은 덕 또한 나의 것이 아니다. 모두 회향해야 할 모두의 것이다. 내 것, 네 것이 분명해지면서, 이기주의가 날로 심해가는 지금 다시 새겨야 말씀을 들어본다.
제가 이제 보현보살 큰 행원과 그지없이 훌륭한 복 회향하니 삼계고에 빠져있는 모든 중생 아미타불 극락세계 어서 가소서 -보원행원품- 회향이란 진리를 향하는 마음을 돌이켜서 세속으로 향한다. 자기에게 이익되는 것을 돌이켜서 남에게 돌아가게 한다. 자기의 공덕을 남에게 돌아가게 한다. 공덕은 샘 솟는 공덕이다. 샘은 퍼내야 계속 물이 난다. 공덕은 회향할수록 커진다. 廻眞相俗, 廻己相者 수행자에게 불보살에게 어려운 사람에게 공덕을 쌓는 것은 이 인연 공덕으로 저 아래 가족들이 어려움에서 벗어나 건강하고 행복하기를 지금 이 자리에 있는 모든 사람들이 재앙을 소멸하고 소원을 성취하기를 보름달이 가득 차듯이 모든 소원이 가득 차기를 기도 끝나고 방생하는 것도 회향의 일종이다. 우리라는 것이다. 주거니 받거니 하는 것이다. 많은 사람이 건강하고 행복하고, 생명을 놓아주면 내가 복을 받는다. 이 세상은 거물과 같이 얼켜 관계하고 있다. 모든 중생에게 아미타 계신 극락세계로 어서 가라고 기원한다. 극락은 천상 세계 가운데 여러 종류의 천당이 있다. 여러 천당 가운데 좋은 점만 모아 놓은 곳이 바로 극락이다. 나만 극락 가는 것이 아니고, 내가 지은 공덕으로 삼계고에 빠져있는 모든 중생들이 극락 가도록 축원한다. 우리도 누구나 부처가 되자. 극락은 최종 목표가 아니다.. 중간 목표이다. 강사진이 화려하다. 금강경을 석가모니 부처가 직접 가르친다.아미타경은 아미타불이 가르친다. 직강이다. 지상에서는 스님이 대신 가르치지만 극락세계에서는 직접 가르친다. 건져준다. 건져주는 것이 최종 목표이다. 보현행원품의 공덕이 얼마나 되느냐? 이런 서원 외는 사람 어떤 세간 다닌대도 달이 구름 벗어나듯 거리낌이 없을 거며 불보살이 칭찬하고 천상 인간 예경하고 일체 모든 중생들이 공양하게 될 것이다. (질문) * 회향을 어떻게 해야 하느냐 == 기도할 때, 공덕을 올릴 때, 이 공덕이 누구에게 돌아가기를 하고 기원한다. 이 공덕이 죽은 이에게 돌아가기를. 이 공덕으로 영가님이 행복하기를. 부처님 생존시 어느 왕이 스님에게 공양을 올렸다. 그 날 밤에 아귀들이 꿈에 나타났다. 부처님에게 물으니 과거세에 친척이다. 공양을 먹어서 아귀가 되었다. 그들에게 회향을 하라. 그날 회향을 하였다. 그날 저녁에 또 꿈을 꾸었다. 어제 그 아귀들이 멋진 모습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모두 알몸이다. 다음날 또 그 사실을 부처님게 말했다. 스님의 가사를 만들어주라고 했다. 그렇게 했다. 그 다음날 꿈에 그들이 모두 좋은 옷을 입고 천당으로 올라가는 꿈을 꾸었다. * 5일 전 돌아간 엄마와 20년 전 돌아간 아빠가 만날 수 있을까? 죽으면 자기의 업에 따라 길을 간다. 또 서로 만나기를 원해야 만난다. 비슷한 업을 지어야 만날 수 있다. * 집에서 100일 기도하면 회향을 어디서 해야 하나 == 집에서 하도 된다. 일체유심조이다. 집에서 계속 기도하면 그기에 기운이 형성된다. 절에서 해도 된다. 100일 기도한 후 양노원에 가서 해도 된다. 자기 마음이 중요하다. * 자신의 편의보다 상대를 먼저 배려하는 것은? == 사람을 선인 악인으로 구분하기보다 어리석은 사람이나 지혜로운 사람이냐고 구분한다. 상대를 배려할 때 지혜롭게 하면 된다. 구분하기 어려울 때는 판단 보류하는 것도 좋다. 화엄경은 대승경전의 꽃이다. 화합과 상생이다. https://blog.naver.com/chass3 |
'불교 > 불교 교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온처계(5온/12처/18계)의 뜻과 온처계를 설하신 이유-근경식의 무아/공성의 지혜 (0) | 2025.04.07 |
---|---|
무외시란 - 법상스님 (0) | 2025.04.03 |
집성제 / 무명에 대한 짧은 법문 (0) | 2025.03.30 |
초기불교와 대승불교의 연기법에 대한 가르침 (0) | 2025.03.29 |
[오온] 오온의 뜻도 모르고 무상고무아를 관찰하는 위빠사나 수행을 한다고??? (0) | 2025.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