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악을 짓지 말고 뭇 선을 봉행해서 그 뜻을 스스로 깨끗이 하는 것이 바로 모든 부처님의 가르침이다.
출처 : 대반열반경
불법은 미묘하여 헤아리기 어려워서 모든 말로도 미치지 못한다네. 이것은 화합도 아니고 화합하지 않는 것도 아니니, 체성이 적멸하여 모든 상이 없다네.
출처 : 대방광불화엄경
범천이 말했다.
"선남자여, 대저 불법이라고 하는 것은 삼계법에 불과한 것입니까?"
"범천이여. 삼계와 불법의 성질에는 차별이 없습니다. 삼계도 평등하고 불법도 평등해서 두 가지 상이 있는 것이 아닙니다."
출처 : 대방등대집경
비록 백년을 산다 해도 나고 사라지는 일을 알지 못하면 단 하루 동안이라도 나고 사라지는 일을 깨달아 이해하는 것만 못하다.
출처 : 출요경
밝게 깨달으면 금강산의 모든 모진 바람도 흔들 수 없는 것과 같고, 밝게 깨닫지 못하면 갈대꽃이 모진 바람에 휘날려 공중에서 떠도는 것과 같다.
출처 : 오사비바사론
네 가지 법이 있다. 첫째는 법을 듣되 싫증내지 않는 것이고, 둘째는 바르게 관찰하고사유하는 것이고, 셋째는 법에 따라 행하는 것이며, 넷째는 보리로 회향하는 것이다.
출처 : 불설전년신경
도를 가까이 하면 이름이 드러나기가 높은 산의 눈과 같고 도를 멀리하며 어리석기가 밤에 화살을 쏘는 것과 같다.
출처 :법구경
법의 가르침을 널리 펴서 백성들에게 보여주고 복전을 짓게 해야 한다. 그러면 믿는 자는 그 가치를 얻어 후생에 아무런 걱정도 없으리라.
출처 : 불설아난분별경
삼보가 계시는 곳에서 늘 신심을 일으켜 대승의 오묘한 경전과 모든 착한 공덕을 닦아 익혀서 물러서려는 마음을 품지 않는다면, 이런 사람은 빨리 성취하게 된다.
출처 : 소실지갈라경
만일 보리를 구해 중생을 이롭게 한다면 그런 이들이 중생 가운데 가장 뛰어난 이들로 이에 비할 무리도 없는데 하물며 그 위가 있으랴. 그러므로 이 모든 법을 들으면 슬기로운 이는 법을 좋아하는 마음을 늘 가져 마땅히 커다란 복을 무더기를 얻고 위없는 도를 속히 증득하리라.
출처 : 불설출생보리심경
법을 듣는 자는 설법하는 사람을 대함에 의왕이라 생각하고, 고통을 뽑아줄 것이라 생각하며, 법에 대해서는 감로라고 생각하고, 제호라고 생각해야 한다. 설법하는 이는 청중을 대함에 뛰어난 이해를 늘려주어야겠다고 생각하고, 병을 고쳐 주리라고 생각해야 한다. 만약 설하는 자와 듣는 자가 이렇게 마음을 쓸 수 있다면, 모든 불법을 이어받아 일으켜 언제나 부처님 앞에 태어나리라.
출처 : 대집경
작은 불이랴? 지옥의 고통을 통해서도 오히려 불법을 구할 판인데, 하물며 작은 고통이랴?
출처 : 유가사지론석
만약 의문이 있다면 모두 반드시 법을 들어야 한다. 듣고 나서 이해하면 깨닫게 된다. 깨닫고 나면 곧 신심이 생긴다. 신심이 생기고 나면 곧 기쁨과 즐거움이 생긴다. 기쁨과 즐거움이 생기고 나면 차례대로 문.사.수가 생기고 더 나아가서는 일체종지를 구족하게 된다.
출처 : 임대승론
불자여, 대비로 으뜸을 삼는 이 보살의 광대한 뜻은 무너뜨릴 수 없다. 그것은 믿음을 일으키기 때문이며, 지혜가 청정하기 때문이며, 가엾이 여기는 마음을 내기 때문이며, 부끄러움을 알기 때문이며, 부처님이 가르치신 법을 공경하고 존중하기 때문이다.
출처 : 화엄경
산란한 마음으로 대상을 분별할 때에는 마음이 일어나도 무슨 까닭으로 일어나는지 알지 못하고, 마음이 사라질 때에도 무슨 까닭으로 사라지는지 알지 못하는 것이다.
출처 : 화엄경
일체 중생의 심성은 본래 청정하다. 심성이 본래 청정해서 모든 번뇌가 더럽힐 수 없는 것은 마치 허공이 더럽혀질 수 없는 것과 같다.
출처 : 대방등대집경
'불교 > 불교 경전구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한없는 가르침을 부처님의 가르침이라 한다. 다툼없는 가르침을 부처님의 가르침이라 한다. 비방없는 가르침을 부처님의 가르침이라 한다. (0) | 2025.01.20 |
---|---|
법을 듣는 공덕이 생사를 벗어 나는데 가장 제일이 된다. (0) | 2025.01.18 |
만약 설하는 자와 듣는 자가 이렇게 마음을 쓸 수 있다면, 모든 불법을 이어받아 일으켜 언제나 부처님 앞에 태어나리라. (0) | 2025.01.18 |
작은 불 (0) | 2025.01.16 |
☆불교경전 불경 독경 오늘의 경전구절(+α) 모음 (1) | 2025.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