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님 당시 외도스승들은 갖가지 견해를 말했습니다. 수 많은 견해 중에서도 최악의 견해가 단멸론입니다. 영원론은 그래도 낫습니다. 영혼을 믿지만 유익한 업을 지으면 하늘나라에 태어난다는 견해를 말합니다. 그러나 단멸론은 죽으면 모든 것이 끝나기 때문에 도덕적으로 살 필요가 없습니다. 오계를 지킬 필요도 없고 십선행을 할 필요도 없습니다. 이런 범주에 해당하는 견해가 무작론(akiriyā-diṭṭhi), 무인론(ahetuka-diṭṭhi), 단멸론(antthika-diṭṭhi)입니다.
부처님은 무작론 등 세 가지 견해에 대하여 오역죄와 같은 범주로 보았습니다. 부모와 아라한을 살해하거나, 부처님에게 상해 하는 것, 승단분열에 대하여 한 우주기 동안 지옥고를 받을 정도로 ‘무거운 업(重業)’이라 했습니다. 그런데 이 보다 더 무거운 업이 사견을 갖는 것이라 했습니다.
무작론, 무인론, 단멸론 등 사견을 가지고 있으면 수 겁 동안 지옥고를 받을 것이라 했습니다. 이에 대하여 업과 윤회의 법칙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죽음의 순간에 이러한 잘못된 견해에 취착하는 것은 6가지 해롭고 무거운 업들 가운데 가장 무거운 업이다. 그래서 수 겁동안 지옥에서 고통받는다. 그 업의 잠재력이 아직도 살아 움직이는 한 심지어 세상의 시스템이 파괴된다 하더라도 지옥에서 벗어나지 못한다.”(업과 윤회의 법칙, 346쪽)
<효험이 없다는 견해(akiriyā-diṭṭhi)>
먼저 ‘효험이 없다는 견해(akiriyā-diṭṭhi)’입니다. 이를 무작론이라 합니다. 바라문 웨란자가 “존자, 고따마께서는 무작을 설합니다. (Akiriyavādo bhavaṃ gotamoti.)”(A8.11)라 했습니다. 이 말은 업지음 없음을 말하는 도덕부정론자라는 뜻입니다. 정말 부처님은 업과 업의 작용을 부정하는 도덕부정론을 설하였을까요? 부처님은 웨란자의 질문에 “나는 신체적인 악행, 언어적인 악행, 정신적인 악행의 무작을 설하고 여러 가지 악하고 불건전한 것들의 무작을 설합니다.” (A8.11) 라 했습니다. 부처님이 설한 무작론은 신구의 삼업에 대한 소멸입니다. 그렇다면 진짜 무작론은 어떤 것일까요? 초기경전에 따르면 이렇게 설명되어 있습니다.
“비록 이 땅의 생명체들을 면도날 테로 만든 수레바퀴로 조각내어 부수고, 한 덩어리로 만든다고 해도, 그것을 조건으로 생겨나는 악은 없으며, 악에서 오는 과보도 없다.”(S24.50, 전재성님역)
<뿌리가 없다는 견해(ahetuka-diṭṭhi)>
두 번째로 뿌리가 없다는 견해(ahetuka-diṭṭhi)가 있습니다. 이를 무인론이라 합니다. 무인론은 파아옥 사야도의 책에 따르면 “현상들은 운명적으로 결정지어진다. 혹은 환경이 결정한다. 혹은 자연(생태)에 의하여 결정된다.”고 하는 견해를 말합니다. 이와 같은 견해는 결정론에 속하기도 합니다. 결정론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1)운명론, 2) 결정론, 3) 생물학적 결정론이 있습니다. 강병균교수의 유전자연기론은 생물학적 결정론의 범주에도 해당된다고 봅니다.
무인론, 운명론, 결정론은 공통적으로 뿌리가 없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지금 현존 하는 것에 대하여 뿌리나 원인을 부정하는 것입니다. 부모가 있어서 존재하고 있다는 견해 역시 무인론에 속합니다. 윤회를 인정하지 않지만 부모로부터 유전자를 받아 생명을 얻게 되었다는 논리입니다. 대개 윤회를 부정하는 자들이 이런 논리를 전개합니다.
<존재하지 않는다는 견해(an-tthika-diṭṭhi)>
세 번째로 존재하지 않는다는 견해(an-tthika-diṭṭhi)가 있습니다. 오로지 물질만이 참된 존재라는 견해로 행위들이 만드는 어떠한 과보도 부정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다시 태어나는 것 역시 부정하고 다른 존재들의 세계가 있다는 것도 부정합니다. 또한 이런 것들을 알고 있다는 부처님의 견해도 부정합니다. 한마디로 몸이 파괴도어 죽으면 정신도 죽어서 아무 것도 남는 것이 없다는 단멸론적 견해를 말합니다.
《사성제를 모르면 사견》
무작론, 무인론, 단멸론은 악처로 이끄는 사견입니다.그렇다면 구체적으로 어떤 요인으로 사견이 발생하는 것일까요? 이에 대하여 공통적인 정형구가 있습니다 그것은 오온에 대한 집착입니다. 오온을 자신의 것이라고 집착했을 때 사견이 발생됩니다. 그래서 “물질이 있을 때 물질에 집착하고 물질에 탐착하면 이와 같이”라는 정형구로 표현됩니다.
오온을 자신의 것이라고 여기고 있는 한 사견에서 벗어날 수 없습니다. 오온의 생성과 소멸의 원리를 아는 자만이 사견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했습니다. 그것은 다름 아닌 부처님의 가르침입니다. 부처님은 오온의 생성과 소멸에 대하여 연기법으로 설했습니다. 연기법을 알아 괴로움과 윤회를 소멸할 수 있습니다. 곧 사성제를 알면 정견이고 사성제를 모르면 사견입니다.
'불교 > 불교 교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탈과 열반의 뜻 #법륜스님 #법륜스님쇼츠 #법륜쇼츠 #이래도 좋고 저래도 좋고 #즉문즉설 (7) | 2024.08.25 |
---|---|
그러므로 그대들은 이와 같이 공부지어야 한다 (0) | 2024.08.23 |
‘사바娑婆(sahā)세계 남섬부주南贍部洲 란? (0) | 2024.08.22 |
[반야심경] 불구부정 부증불감은 깨달음의 세계, 공성을 이해할 때 알 수 있는 것 (0) | 2024.08.16 |
중생들을 극락세계로 인도할 때는 이것을 확실히 가르쳐야 #shorts #삼선도 #삼악도 (0) | 2024.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