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15 15

막힐 때와 막히지 않을 때의 원인을 파악했다.

막힐 때는 내가 십악업에 해당하는 행위를 할 때이다.더 자세하게 들어가보자면,막힐 때는 아상을 내세울 때이다. 하지만 막히지 않을 때는 십선업을 행할 때이며,그보다도 더 정확하게는 아상을 세우지 않을 때이다. 아상이 없고 있음이 통하고 막히고의 원인이었다. 그럼으로 '나'를 내세우지 말고,하심하는 마음으로상대를 나보다 앞에 두고 위에 두자.남을 나보다 먼저 생각하고 위하자. 하심하자. 더불어 아상을 없애는 공부와 수행을 하자.아상을 없애는 공부는 무엇인가. 금강경과 반야심경 공부이다. 연기법을 공부하는 것이다.삼법인을 공부하는 것이다. 공성을 공부하는 것이다. 육바라밀을 닦는 것이며, 계정혜 삼학을 닦는 것이다.아상을 없애는 수행은 무엇인가. 앞서 말한 공부들을 하는 것이며, 하심하고 공경심을 갖는 것이..

하심(下心)의 방법

나보다 남을 먼저 생각하고 위하면 된다. 부처님전에 삼배드리거나, 반배드릴때도 하심하는 마음으로 해 보라.나보다 부처님을 먼저 생각하고 위하는 마음.나보자 가르침을 먼저 생각하고 위하는 마음.나보다 승가를 먼저 생각하고 위하는 마음으로 삼배를 드리는 것이다. 나보다 삼보님을 앞에 놓는 것이다. 이것이 하심이다. 이 하심하는 마음으로 합장공경하고 합장반배하면, 반배드리는 것이 원만함을 필자는 경험했다. 하심해보라.

기도는 욕심을 버리기 위해 하라 (불자로서 나아가야 할 바른 길이란?)

욕심을 버리는 것이 진정한 수행이고 기도다. 욕심을 성취하기 위해 기도하는 것은 바른 기도가 아니다. 설령 그 기도가 성취된다 할지라도, 그 결과물은 부스러기에 불과하다. 욕심을 버리고 탐진치 삼독심을 버리기 위해 하는 기도와 수행으로 성취되는 과보에 비하면 말이다. 기도의 공덕은 어마무시하다. 금강경에서부터 해서 여러 경전들에서도 스님들께서도 말씀하시는 바이다. 불자라면 고로 욕심(삼독심)이 일어날 때 그 욕심을 다스리고 버리기 위해 기도수행을 해야지, 욕심을 성취하기 위해 신구의 삼업을 짓고 기도를 해서는 안될 것이다. (일상이 곧 기도가되고 수행이 되어야 할 것이리라. 일상서 하는 신구의 삼업 하나하나가, 머무름 없이 순수한 자비심으로서 평등하게 보시를 하고 지혜를 구하는 상구보리 하화중생 자리이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