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14 16

자애 명상 - 마하보디 스님

https://m.blog.naver.com/tenzinpalden/222576428455 자애 명상살아 있는 모든 것들은 일체의 모든 고통에서 벗어나 언제나 행복하기를... 고통과 그 고통의 원인도 다 소...blog.naver.comhttps://m.blog.naver.com/tenzinpalden/222574396625 봄이 이미 와버렸네. 꽃이 폈어요.날이 따땃하더니만, 꽃이 피고 말았네요. 진달래인가??? 철쭉인가??? 훌륭하게 아름답구나 겨울의 입구에서...blog.naver.comhttps://m.blog.naver.com/tenzinpalden/222571664173 수행자는 따듯한 가슴을 지녀야......그간의 지나온 나의 삶을 살펴보면, 나의 가슴은 냉랭했었던 것 같다. 가슴이 따듯해야..

행복의 비법

저항하니 괴롭다. 제법무자성이니 관여 말고 내버려 두자. 관여하지 않고 내버려 둔다는 것은 지금 이대로 사는 것이다. 아프면 아픈 대로 불안하면 불안하데로 나아가는 거다. (이게 수용이오 허용이다.) 좋고 나쁠게 없다. 가고 올것도 없다. 본래 생한바조차 없다. 무유고하 불래불거 불생불멸 이무소득고다.고로 지금 이대로 원만하고 충만하다.행복도는 관점 따라 높아지고 낮아진다.감사하자. 긍정적으로 보자. 언제나 어디서나. 늘. 이는 불법승 삼보님께 배운 내용이다.특히 다음의 법문(마하보디스님의 법문과 그 및에 달아놓은 링크에 나오는 감사하기와 긍정적인면 보기의 실천사례)이 많이 도움이 되었다.https://findthebrightroad.tistory.com/m/6451 ☆ 행복해지는 법. 행복하게 사는 방..

보리 (불교)

https://ko.wikipedia.org/wiki/%EB%B3%B4%EB%A6%AC_(%EB%B6%88%EA%B5%90) 보리 (불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보리(菩提)는 팔리어와 산스크리트어에서 수행자가 최종적으로 도달할 수 있는 참다운 지혜 · 깨달음 또는 앎의 경지를 일컫는 단어 bodhi(बोधि)에서 나왔ko.wikipedia.org《주석 3번 내용》"菩提(보리): 【범】Bodhi 도(道)ㆍ지(智)ㆍ각(覺)이라 번역. 2종이 있다. (1) 불교 최고의 이상(理想)인 불타 정각의 지혜. 곧 불과(佛果). (2) 불타 정각의 지혜를 얻기 위하여 닦는 도(道). 곧 불과에 이르는 길을 말함.+ https://www.bulkwang.co.kr/news/..

분노의 해악을 자주 자주 생각하면 쉽게 쳐부술 수 있습니다. - 마하보디스님

https://m.blog.naver.com/tenzinpalden/222987956729 아이를 때리던 엄마가 시아버지에게 두들겨 맞다. 자녀를 때리지 맙시다!!!저는 어릴적부터 부모님에게 맞은 적이 단 한번도 없습니다. 두분 다 돌아가셨지만, 훌륭한 부모님이였음을...blog.naver.com

[번뇌연구 - 욕망과 분노는 한 짝입니다. / 공포심 없애는 수행법이 있다.]

욕망과 분노는 한 짝입니다.자신의 욕망이 안 채워지거나 좌절되면 분노하게 되니까요.그래서 욕망도 번뇌고, 분노도 번뇌입니다.https://m.blog.naver.com/tenzinpalden/222988656690 평생 트라우마로 남아라!! 저주하며 공무원 앞에서 분신 시도한 60대 남자제가 인도에 처음 갔을 때, 가장 먼저 가보고 싶었던 곳이 바라나시였습니다. 갠지스강의 그 화장터... 죽...blog.naver.com

[번뇌연구 - 번뇌의 강약 구별법] 화를 잘 낼수록 번뇌가 강하다고 보면 딱 맞습니다. 욕심이 많고, 이기적일 경우도 마찬가지죠.

https://m.blog.naver.com/tenzinpalden/222986253974 사랑한다고 할 땐 언제고, 이젠 때리고 개똥까지 먹이냐. 사랑과 애증의 관계!!!20대 남녀, 사이좋게 알콩달콩 연애하다가 대판 싸우고 난후, 여친이 이별통보하자, 화가 머리끝까지 뻣친 ...blog.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