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3808

'도'가 높아지면 일어나는 놀라운 일 [종범스님의 향기있는 법문] #종범스님 #불교 #큰스님 법문 #수복수도 #경계는 있어도 마음이 흔들리지않음

https://youtu.be/cLGVp2ZFflw?si=eWMTBBf_J_E5j6g_'도'가 높아지면 일어나는 놀라운 일 [종범스님의 향기있는 법문] #종범스님 #불교 #큰스님 법문 #수복수도 #경계는 있어도 마음이 흔들리지않음도가 높아진다 해서 경계가 일어나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도가 높아지면 경계가 일어나도 마음이 흔들리지 않게 된다는 것을 배웠습니다.이를 통해서 청정수행을 기본으로 갖추되 마음이 흔들리지 않으면서 수순중생을 할 줄도 아는 것이 청정수행만 하며 수순중생은 할 줄 모르는 것보다 더 높은 경지임을 노힐부득과 달달박박의 이야기로서 배울 수 있었습니다.그러나 수순중생을 한답시고 청정수행을 저버리게되면 이는 범부 중생의 경지로 떨어진 것이니, 수순중생을 못하고 청정수행만 하는 것보다도 훨씬 ..

법문 2025.01.10

산란할때는 멈춰라.

예전에 조계종출판사에서 출간한 불교성전을 읽었었던 적이 있다.불교성전을 읽다보니 십선업과 십악업의 과보에 대한 화엄경에 나오는 가르침(경전 내용)을 발견했다.이 경전 내용을 보면서 신기했던 사실은 신업과 구업 뿐만이 아니라 의업에도 과보가 따른다는 사실이다. 즉 탐진치 삼독심을 품으면 그 각각에 따른 과보가 있다는 것이다.그리고 그보다 더 신기했던 것은 고작 의업임에도 불구하고 그 과보는 고작이라 표현할만한 수준이 아니라는 점이었다. 탐심 진심 치심의 과보란 약하게 받는 게 현생에서의 괴로운 경계를 경험하는 것이었고 강하게 받으면 삼악도에 떨어지는 과보를 받게 된다고 나와있었다.그리고 이 가르침이 그 유명한 대방광불화엄경에 나오는 가르침이었다.나는 이 가르침을 읽고 참 신박하고 신기하고 놀라움을 느꼈다...

아상 인상 좋고 싫음의 분별이(실체시가) 내 괴로움의 원인이었다. / 오온 형성과정과 깨달음의 조건

제목 : 아상 인상 좋고 싫음의 분별이(실체시가) 내 괴로움의 원인이었다. / 오온 형성과정과 깨달음의 조건본래 이 글은 스님의 하루에 쓰려다가 칼럼으로 옮긴 글입니다.https://m.jungto.org/pomnyun/view/85098 “내가 나 자신을 아끼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 스님의하루2025.01.06 부탄 답사 14일째 트롱사 주지사 만남, 내각 장관과 회의www.jungto.org※저는 저를 위해 특별히 하는 일이 없습니다. 무엇을 고집할수록 번뇌가 많이 생깁니다.※. 자기라는 인식을 너무 움켜쥐면 번뇌가 자꾸 생깁니다. ‘자기를 위해서 무슨 일을 하느냐?’ 하는 질문은 질문자가 다른 사람과 나를 구분하여 자기라는 것을 자꾸 움켜쥐기 때문에 하게 되는 질문입니다. 나와 남을 구분하..

[법화경 비유품/법상스님 해설] - 부처님이 책임지고 보증한다

https://moktaksori.kr/Writing-1/?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140354116&t=board 부처님이 책임지고 보증한다 : 법상스님글모음너희는 삼계의 불난 집에 머무르기를 즐기지 말라.쓰레기 같은 색성향미촉을 탐내지 말라.만약 탐내고 사랑하는 마음을 내어 집착하면그 불에 타고 말리라.그러나 너희가 속히 삼계에서 나오면moktaksori.krhttps://moktaksori.kr/Writing-1/?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140035493&t=board 수행을 해야 하는 이유 : 법상스님글모음모든 ..

[달마 오성론 법상스님 해설] 탐진치 삼독이 곧 불성 - 달마 오성론

https://moktaksori.kr/Writing-1/?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140037215&t=board 탐진치 삼독이 곧 불성 - 달마 오성론 : 법상스님글모음비춤을 돌이켜 또렷이 볼 수 있다면, 탐내고 성내고 어리석음의 본성이 곧 불성이고, 탐내고 성내고 어리석음 밖에 다시 다른 불성은 없다. ✔ 탐내고 성내고 어리석은 삼독(貪瞋癡 三毒)의 본moktaksori.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