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736

KBS 아침마당 - 법륜스님과 행복한 대화 2부 잘 물든 단풍은 봄꽃보다 아름답다

https://youtu.be/YkhgLv6IKJ8 정말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던 좋은 영상입니다. 아침에 일어나면 눈뜬게 기적입니다. 그러니 법륜스님 말씀대로 "오늘도 살았구나!"라고 하면 참 좋을 것 같습니다. 지금을 살아야겠고, 자식이 있다면 기대하지 않아야겠고, (20살 넘으면 동등한 사회구성원으로 보아야.) 어떤 상황이든 긍정적으로 해석하고, 또 내 위주가 아닌 부모님 입장에서 생각하고 행동하는 부모님을 위하는 지혜를 또 새롭게 배울 수도 있었습니다. 이 같이 가치를 매길 수 없는 법문들을 들을 수 있었던 정말 들으면서 행복했던 방송 프로그램입니다. 법륜스님께 정말 감사드립니다. 나무 불법승. 나무 불법승. 나무 불법승. 나무 아미타불 관세음보살.

불교 2022.08.14

보시는 버리는 것입니다. 물질에 얽매이고 자기애에 얽매이면 반드시 고통의 과보를 초래하게 됩니다.

보시는 버리는 것입니다. 물질에 얽매이고 자기애에 얽매이면 반드시 고통의 과보를 초래하게 되므로, 버리는 보시 행을 통하여 참으로 자유롭고 행복한 길로 나아가라고 가르친 것입니다. 상에 집착하지 않는 무주상! 이것이 결코 쉽지는 않겠지만, 상에 집착하지 않도록 무단히 노력하면 차츰 보리심을 유지할 수 있게 되고, 마침내는 아뇩다라삼먁삼보리, 곧 부처님과 같은 대각(大覺)을 성취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우리 모두 무주상으로 대우주의 진실한 행, 진리의 행을 실천하여 대해탈을 이루고 대자유와 무한행복을 누려봅시다. -'생활 속의 금강경' 중- #불교명언 마음의 등불 더보기 https://bit.ly/3zKl3ic. 물질에 얽매이고 자기애에 얽매이면 반드시 고통의 과보를 초래하게 되므로, 버리는 보시 행을..

보시는 버리는 것입니다.

보시는 버리는 것입니다. 물질에 얽매이고 자기애에 얽매이면 반드시 고통의 과보를 초래하게 되므로, 버리는 보시 행을 통하여 참으로 자유롭고 행복한 길로 나아가라고 가르친 것입니다. 상에 집착하지 않는 무주상! 이것이 결코 쉽지는 않겠지만, 상에 집착하지 않도록 무단히 노력하면 차츰 보리심을 유지할 수 있게 되고, 마침내는 아뇩다라삼먁삼보리, 곧 부처님과 같은 대각(大覺)을 성취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우리 모두 무주상으로 대우주의 진실한 행, 진리의 행을 실천하여 대해탈을 이루고 대자유와 무한행복을 누려봅시다. -'생활 속의 금강경' 중- #불교명언 마음의 등불 더보기 https://bit.ly/3zKl3ic

행복에 이르는 길 12가지 - 법정스님

[행복에 이르는 길 12가지] 1. 더 이상 나눌 것이 없다고 생각될 때에도 나누라. 아무리 가난해도 마음이 있는 한 나눌 것은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내 자신이 더 풍요로워질 수 있다. 세속적인 계산법으로는 나눠 가질수록 잔고가 줄어들 것 같지만, 출세간적인 입장에서는 나눌수록 더 풍요로워진다. 2. 행복의 비결은 필요한 것을 얼마나 갖고 있는가가 아니라, 불필요한 것에서 얼마나 자유로워져 있는가에 있다. 행복을 찾는 오묘한 방법은 내 안에 있다. 인간을 제한하는 소유물에 사로잡히면 소유의 비좁은 골방에 갇혀 정신의 문이 열리지 않는다. 작은 것과 적은 것에 만족할 줄 알아야 한다. 3. 선택한 맑은 가난은 부보다 훨씬 값지고 고귀한 것이다. 이것은 소극적인 생활 태도가 아니라 지혜로운 삶의 선택이다...

행복에 이르는 길 12가지

[행복에 이르는 길 12가지] 1. 더 이상 나눌 것이 없다고 생각될 때에도 나누라. 아무리 가난해도 마음이 있는 한 나눌 것은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내 자신이 더 풍요로워질 수 있다. 세속적인 계산법으로는 나눠 가질수록 잔고가 줄어들 것 같지만, 출세간적인 입장에서는 나눌수록 더 풍요로워진다. 2. 행복의 비결은 필요한 것을 얼마나 갖고 있는가가 아니라, 불필요한 것에서 얼마나 자유로워져 있는가에 있다. 행복을 찾는 오묘한 방법은 내 안에 있다. 인간을 제한하는 소유물에 사로잡히면 소유의 비좁은 골방에 갇혀 정신의 문이 열리지 않는다. 작은 것과 적은 것에 만족할 줄 알아야 한다. 3. 선택한 맑은 가난은 부보다 훨씬 값지고 고귀한 것이다. 이것은 소극적인 생활 태도가 아니라 지혜로운 삶의 선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