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moktaksori.kr/Writing-1/?q=YToy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zOjQ6InBhZ2UiO2k6MTY0O30%3D&bmode=view&idx=9172173&t=board
아래 내용은 위 글 스크랩 한 내용입니다.
부처님께서 꼬삼비에 계시던 어느날
부처님을 증오하던 왕비 마간디아는
불량배들을 매수하여
부처님이 탁발을 나오실 때마다 뒤를 따라 다니며
온갖 욕설과 비방, 침을 뱉는 등
거친 행동으로 못살게 굴도록 만들었다.
이에 아난다는 부처님께 이 도시를 떠나자고 간청하지만
부처님께서는 거절하며 말씀하신다.
"욕설을 하는 사람이 있을 때 마다 그곳을 떠나는 것은
올바른 방법이 아니다.
문제가 있을 때마다 그곳을 떠나는 것으로는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
무릇 수행자는 문제와 소란이 있을 때
그것을 거부하거나 떠나지 말고
그 문제와 함께 머물면서 받아들여
최선을 다해 문제가 해결되도록 해야 한다.
그리하여 문제가 해결된 뒤에 길을 가는 것이 합당하다.
마치 싸움터에 나간 코끼리가
사방에서 날아오는 화살을 맞더라도 도망치지 않고
자신의 임무를 잘 수행하듯
여래는 어리석은 자들의 비난과 욕설을 피해 달아나지 않고
묵묵히 참고 인욕하되
다만 자신을 잘 다스림으로써 으뜸가는 성자가 된다."
부처님의 말씀처럼
문제가 생겼을 때 문제를 피해 달아나는 것은
자신에게 주어진 삶의 과제요 업장을 거부하는 것일 뿐이다.
삶의 진보와 깨달음은 주어진 삶의 문제를 통해 온다.
그 문제야말로 지금 여기에서 내가 받아들여 풀어야 할
절호의 때가 왔음을 알려주는 신호다.
그것은 사실 문제가 아니라 그것을 통해 성장할 수 있는 기회이며
업장을 소멸시킬 수 있는 절호의 찬스와도 같다.
문제가 생겼다면 문제에 대한 부처님의 방식을 따르라.
그 문제를 거부하지 말고 허용하라.
받아들인다는 것은
그 문제를 끌어안고 싸운다는 뜻이 아니라
그 문제가 일어난 것에 대해 인정하고 허용하겠다는 뜻이다.
끌어당기거나 밀쳐내지 않고,
좋아하거나 싫어하지 않고
내버려 둔 채 지켜보겠다는 의미다.
참된 인욕이란 그 문제가 너무 싫고 벗어나고 싶지만
억지로 참고 견뎌 보겠다는 뜻이 아니라,
그 문제가 사실은 내가 생각하는 것처럼
그리 큰 문제는 아니었음을 깨달아
그 문제를 문제 삼지 않고 그냥 내버려 둔 채
싫거나 좋다는 에너지를 투여히지 않고
말 그대로 그냥 내버려 두는 것을 의미한다.
모든 문제는 자신이 좋은 쪽이든 나쁜 쪽이든
그 문제에 에너지를 쏟아 부어
실체적인 힘을 부여했을 때부터 문제가 되는 것이다.
즉 내가 문제로 삼지 않으면 그것은 문제가 될 수 없다.
그렇기에 문제를 문제삼는 마음이 클수록
우리는 그 문제에 휘둘리게 된다.
받아들이고 허용한다는 말은
그 문제를 더이상 문제삼지 않고 그냥 내버려 둔 채
무심하게 지켜보겠다는 것이다.
그럼으로써 어떻게 와서 어떻게 머물다가 어떻게 흘러가는지를
다만 볼 뿐이다.
와서 머물고 가는 동안
우리가 거기에 과도하게 대응함으로써 힘을 실어주지 않는다면
그것은 아주 빨리 소멸하고 만다.
그러나 그 문제와 맞붙어 싸우거나 도망치려고 애쓰게 되면
그 에너지를 먹고 그 문제는 더욱 커지게 된다.
바로 모든 문제는 그런 상황을 기다리고 있다.
우리가 문제를 문제삼기를 너무나도 기다리는 것이다.
그래야 실체 없던 문제가 실체적인 에너지를 가진 채 생명력을 부여받아
우리를 흔들어놓거나 조종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업장이라는 것도 이와 같이 움직인다.
깨달은 이는 업장이 올라오더라도
그것을 무분별로, 즉 중립적으로 지켜볼 뿐 거기에 대응하지 않는다.
싫어하지도 좋아하지도 않은 채,
싸워 이기려거나 도망치려고도 하지 않은 채,
그 모든 업장이 일어나도록 무심히 허용하고 내버려 둔 채
다만 바라보고 있을 뿐이다.
그러니 업장이 올라와 잠시 나를 괴롭힐지라도
더이상 양분을 받지 못하니
얼마 안 가 소리소문 없이 스르륵 사라지는 것이다.
업장과 문제들이 좋아하는 양분을 주지만 말라.
업장이 올라 오고 문제가 때때로 우리 삶에서 터져 나오는 것은 아주 좋은 기회다.
다만 그것을 좋아함으로써 붙잡아 집착하려 하거나
싫어함으로써 밀쳐내고 거부하며 도망치려 하는
두 극단적인 분별만 일으키지 않은 채
그 모든 것이 일어나도록 허용하고,
있고 싶은 만큼 충분히 있다가 가고 싶을 때 떠날 수 있도록 배려해 주라.
수심결에서는 좋아하거나 싫어하지만 않으면
통연명백해 진다고 했다.
모든 문제가 일어날 때 일어나도록 허용하되
분별 없이 지켜볼 때 모든 문제는 머지않아 해결된다.
다만 왔다가 머물고 가기까지의
그 시간이 다소 견디기 힘들고 괴로울 수 있겠지만,
우리가 이 세상에 온 삶의 목적이 바로 그것을 견디고 이해하며
그로인해 업장을 소멸하고
그 속에서 깨닫기 위함이라는 것을 생각해보면
그 또한 아름다운 진리다운 길이 아닐까.
부처님께서 이 세상을 고해바다요,
참고 견디며 인욕하는 세계라고 하신 이유도 여기에 있다.
그러나 그 인욕 뒤엔
무한한 보배와 깨달음, 행복과 평안이 깃들어 있다.
2012.09.13 글쓴이:법상
'법문 > 법상스님 법문(생활수행 이야기 - 글 법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끌 역경 속에서 벗어나기, 나 깨달았나요? (5-3) (0) | 2024.03.08 |
---|---|
저질러 시작하기 좋은 때 (0) | 2024.02.24 |
[불교방송 원고읽기] 중도적인 삶의 방식 (0) | 2024.02.23 |
[불교방송 원고읽기] 불교라는 틀에서도 벗어나라 (0) | 2024.02.19 |
[불교방송 원고읽기] '화두' 나는 누구인가 - 법상스님 (0) | 2024.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