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념처경 - 신념처와 부정관
대념처경에 보면 (맛지마니까야 10, 디가니까야 22)
불교 수행을 하는 데 마음을 한곳이 집중하여 보는데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사람에게
묘지에 가서 사람의 시체가 시간의 지남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를 자시히 살피는 것인데요
매우 상세하게 방법이 설명되어 있읍니다
인도에서는 묘지에 시체를 천에 싸서 방치하면 썩어서 뼈만 남게되는 것을 볼 수있었나봅니다
그 천을 물에 빨아서 황토물을 들인 것이 입었는데
요즘 스님들이 입는 옷 색깔이 황토색인 이유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겉에다 표식만 하죠
불교 수행을 자세하게 설명한 것중 아레 중간에 소개해 놓았읍니다
갈애로 부터 자유로워지는 것 그것을 해탈이라합니다
갈애가 떠오르면 알아차림하면
생각이 갈애로 부터 알아차림으로 바뀝니다
계속 떠오르면 계속 알아차림하면 안 떠오릅니다
마음이 그게 안되니까
이번에는 다른 것을 가지고 마음을 휘두릅니다
거기에 끌려가면 실력이 올라가지 않죠
원전을 잘 읽어보시고 이해하십시요
마음강화 하는 훈련이 불교 수행법입니다
아래와 같이 열심히 훈련해보세요
(1~5분 해보면 금방 알거예요)
지나간 일들을 생각하면 후회스럽고
미래를 생각하면 두렵고 불안하죠
생각은 꼬리를 물고 끝없이 몰려와요
그래서
현재에 머무르는 훈련을 해야해요
몸을 편안히 한다음 움직이지 말고
눈을 감고
숨이 들어오면 하나
나가면 둘
하나 둘 하나 둘
다른 생각이 들어오더라도 무시하고 또는 빠르게 알아차리고
다시 하나 둘 하나 둘
그렇게 하면 그생각이 안 떠로르죠
그렇다고 기억이 사라지는 것은 아니예요
생각이 떠오르더라도 귀찬아지지 않아요
느낌 같은것 들더라도 무시하고
계속 하나 둘 하나 둘 하세요
(응용해서 무자화두를 든다면
숨이 들어오면 무, 나가면 무, 무, 무, 무, 무,
생각이 들어오면 무, 나가면, 무, 무, 무 하는 것이죠)
이렇게 하면 세상을 바라보는 눈 마음의 변화가오죠
잠이 안오더러도 하나 둘 하나둘
우울한 생각이 들더라도 무시하고 하나 둘 하나 둘
안되면 소리 내면서 하나 둘 하나 둘
지루하면 자기도 모르게 잠이 드는데 엄청 편해져요
걸어갈 때는 오른발 왼발 오른발 왼발
1. 유일한 길 : 네 가지 마음챙김의 확립(四念處)
1.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때 세존께서는 꾸루의 깜맛사담마라는 꾸루들의 성읍에 머무셨다.
그곳에서 세존께서는 "바구들이여'라고 비구들을 부르셨다.
"세존이시여"라고 비구들은 세존께 응답했다.
세존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다.
"비구들이여, 이 도는 유일한 길이니,
중생들의 청정을 위하고,
근심과 탄식을 다 건너기 위한 것이며,
육체적 고통과 정신의 고통을 사라지게 하고,
옳은 방법을 터득하고,
열반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다.
그것은 바로 '네 가지 마음챙김의 확립(四念處)'이다.
무엇이 네 가지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몸에서 몸을 관찰(身隨觀)하며 머문다.
세상에 대한 욕심과 싫어하는 마음을 버리면서
근면하게, 분명히 알아차리고, 마음챙기는 자 되어 머문다.
느낌에서 느낌을 관찰하며(受隨觀) 머문다.
세상에 대한 욕심과 싫어하는 마음을 버리면서
근면하게, 분명히 알아차리고, 마음챙기는 자 되어 머문다.
마음에서 마음을 관찰하며(心隨觀) 머문다.
세상에 대한 욕심과 싫어하는 마음을 버리면서
근면하게, 분명히 알아차리고, 마음챙기는 자 되어 머문다.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法隨觀) 머문다.
세상에 대한 욕심과 싫어하는 마음을 버리면서
근면하게, 분명히 알아차리고, 마음챙기는 자 되어 머문다."
* 대념처경(大念處經, Mahasatipatthana Sutta)
부처님의 육성이 생생히 살아있는 초기경들 가운데서
실참수행법을 들라면
본경 「대념처경」과,
「중부」의 「들숨남숨에 마음챙기는 경」(Anapanasatii Sutta, 出入息念經, M118)과
「몸에 마음챙기는 경」(Kayagatasati Sutta, 念身經, M119)의 셋을 들 수 있다.
물론 「중부」의 「염처경」(M10)도 들어야겠으나
「염처경」은 사성제에서 고성제에 관한 부분만 제외하고는 본경과 그 내용이
일치하기 때문에 언급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이 세 경들(대념처경, 들숨날숨에 마음챙기는 경, 몸에 마음챙기는 경)을
초기경들 가운데서 실참수행을 설하신 수행삼경(修行三經)이라 불러도 괜찮다.
이 가운데서 본경은 수행법을
몸(身)·느낌(受)·마음(心)·법(法)의 네 가지 주제 하에 집대성한 것으로
초기 수행법에 관한 한 가장 중요한 경이며 그런 만큼 유명한 경이기도 하다.
마음챙김으로 대표되는 초기불교 수행법은
이 경을 토대로 지금까지 전승되어 오고 있으며
남방의 수행법으로 알려진 위빳사나 수행법은 모두 이 경을 토대로 하여
가르쳐지고 있다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본경은 「장아함 」에는 실려 있지 않고 「염처경」(念處經)으로 옮겨져서
「중아함」의 98번째 경으로 중국에 소개되었다.
2-1. 몸을 관찰(身隨觀): 들숨날숨에 마음챙김
2. "비구들이여,
어떻게 비구는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머무는가?
여기 비구는 숲 속에 가거나, 나무아래 기거하거나, 외진 장소에 가서
가부좌를 틀고 몸을 곧추 세우고 전면에 마음챙김을 확립하여 앉는다.
그는 마음챙겨 숨을 둘이쉬고 마음챙겨 숨을 내쉰다.
길게 들이쉬면서 '길게 들이쉰다.'고 꿰뚫어 알고,
길게 내쉬면서 '길게 내쉰다.'고 꿰뚫어 안다.
짧게 들이쉬면서 '짧게 들이쉰다.'고 꿰뚫어 알고,
짧게 내쉬면서 '짧게 내쉰다.'고 꿰뚫어 안다.
'온몸을 경험하면서 들이쉬리라.;며 공부짓고
'온몸을 경험하면서 내쉬리라.'며 공부짓는다.
'신행(身行)을 편안히 하면서 들이쉬리라.'며 공부짓고,
'신행을 편안히 하면서 내쉬리라.'하면서 공부짓는다.
비구들이여,
마치 숙련된 도공이나 도공의 도제가
길게 돌리면서 '길게 돌린다.'고 꿰뚫어 알고
짧게 돌리면서 ;짧게 돌린다.'고 꿰뚫어 아는 것처럼,
그와 같이 비구는
길게 들이쉬면서 '길게 들이쉰다.'고 꿰뚫어 알고,
길게 내쉬면서 '길게 내쉰다.'고 꿰뚫어 안다.
짧게 들이쉬면서 '짧게 들이쉰다.'고 꿰뚫어 알고,
짧게 내쉬면서 '짧게 내쉰다.'고 꿰뚫어 안다.
'온몸을 경험하면서 들이쉬리라.;며 공부짓고
'온몸을 경험하면서 내쉬리라.'며 공부짓는다.
'신행(身行)을 편안히 하면서 들이쉬리라.'며 공부짓고,
'신행을 편안히 하면서 내쉬리라.'하면서 공부짓는다.
이와 같이
안으로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身隨觀) 머문다.
혹은 밖으로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안팎으로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몸에서 일어나는 현상(法)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몸에서 사라지는 현상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몸에서 일어나기도 하고 사라지기도 하는 현상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그는 '몸이 있구나.'라고 마음챙김을 잘 확립하나니
지혜만이 있고 마음챙김만이 현전할 때까지.
이제 그는 (갈애와 견해에) 의지하지 않고 머문다.
그는 세상에서 아무 것도 움켜쥐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비구는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머문다."
2-2. 몸을 관찰: 자세四威儀)에 마음챙김
3. "다시 비구들이여,
비구는
걸어가면서 '걷고 있다.'고 꿰뚫어 알고,
서있으면서 '서있다.'고 꿰뚫어 알며,
앉아 있으면서 '앉아 있다.'고 꿰뚫어 알고,
누워있으면서 '누워있다.'고 꿰뚫어 안다.
또 그의 몸이 다른 어떤 자세를 취하고 있든 그 자세대로 꿰뚫어 안다.
이와 같이
안으로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身隨觀) 머문다.
혹은 밖으로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안팎으로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몸에서 일어나는 현상(法)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몸에서 사라지는 현상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몸에서 일어나기도 하고 사라지기도 하는 현상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그는 '몸이 있구나.'라고 마음챙김을 잘 확립하나니
지혜만이 있고 마음챙김만이 현전할 때까지.
이제 그는 (갈애와 견해에) 의지하지 않고 머문다.
그는 세상에서 아무 것도 움켜쥐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비구는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머문다."
2-3. 몸을 관찰: 거동에 마음챙김
4. "다시 비구들이여,
비구는
나아갈 때도 물러갈 때도 (자신의 거동을) 분명히 알면서 행한다.
앞을 볼 때도 돌아 볼 때도 분명히 알면서 행한다.
구부릴 때도 펼 때도 분명히 알면서 행한다.
가사·의복·발우를 지닐 때도 분명히 알면서 행한다.
먹을 때도 마실 때도 씹을 때도 맛볼 때도 분명히 알면서 행한다.
대소변을 볼 때도 분명히 알면서 행한다.
걸으면서·서면서·앉으면서·잠들면서·잠을 깨면서·말하면서·침묵하면서도
분명히 알면서 행한다.
이와 같이
안으로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身隨觀) 머문다.
혹은 밖으로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안팎으로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몸에서 일어나는 현상(法)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몸에서 사라지는 현상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몸에서 일어나기도 하고 사라지기도 하는 현상을 관찰하며 머문다.
혹은 그는 '몸이 있구나.'라고 마음챙김을 잘 확립하나니
지혜만이 있고 마음챙김만이 현전할 때까지.
이제 그는 (갈애와 견해에) 의지하지 않고 머문다.
그는 세상에 대해서 아무 것도 움켜쥐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비구는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머문다."
7. "다시 비구들이여, 비구는 이 몸은 발바닥에서부터 위로는 머리털에 이르기 까지 피부로 덮어져 있으며 여러 가지 오물로 가득한 것으로 관찰한다. 즉 '이 몸에는 머리털‧몸털‧손발톱‧이‧살갗‧살‧힘줄‧뼈‧골수‧콩팥‧염통‧간‧근막‧지라‧허파‧창자‧장간막‧위장‧배설물‧쓸개즙‧가래‧고름‧피‧땀‧굳기름‧눈물‧비계‧침‧콧물‧관절활액‧오줌·뇌수등이 있다.'라고.
비구들이여, 마치 위아래 양쪽 입구가 있는 자루에 여러 가지 곡물, 즉 벼, 보리, 녹두, 콩, 깨, 쌀 등이 가득 담겨 있는데, 어떤 눈 밝은 사람이 그 자루의 입구를 열어서 관찰하는 것과 같다. '이것은 벼, 이것은 보리, 이것은 녹두, 이것은 콩, 이것은 깨, 이것은 쌀이다.'라고.
이와 같이 비구들이여, 비구는 이 몸은 발바닥에서부터 위로는 머리털에 이르기 까지 피부로 덮어져 있으며 여러 가지 오물로 가득한 것으로 관찰한다. 즉 '이 몸에는 머리털‧몸털‧손발톱‧이‧살갗‧살‧힘줄‧뼈‧골수‧콩팥‧염통‧간‧근막‧지라‧허파‧창자‧장간막‧위장·배설물‧쓸개즙‧가래‧고름‧피‧땀‧굳기름‧눈물‧비계‧침‧콧물‧관절활액‧오줌·뇌수등이 있다.'라고.
이와 같이 안으로 몸에서 몸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물거나, 밖으로 몸에서 몸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물거나, 안팎으로 몸에서 몸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문다.
혹은 몸에서 일어나는 현상[法]들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물거나, 몸에서 사라지는 현상들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물거나, 몸에서 일어나는 현상들과 사라지는 현상들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문다.
혹은 오직 앎(知')만이 있고 확립된 마음챙김이 있을 때 까지, '몸이 있다.'라고 마음챙김을 확고히 한다. 과정을 넘어서서 머물고, 세상에서 아무것도 움켜쥐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비구는 몸에서 몸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문다."
8. "다시 비구들이여, 비구는 이 몸을 구성된 대로 작용하고 있는 대로 요소[계. 界]별로 철저히 안다.
'이 몸에는 땅[地]의 요소, 물[水]의 요소, 불[火]의 요소, 바람[風]의 요소가 있다.'라고.
비구들이여, 마치 숙련된 도축업자나 그 제자가 소를 도살하여 각 부위별로 잘라서 큰 길 네거리에 부위별로 이를 펼쳐놓고 있는 것과 같다.
이와 같이 비구는 이 몸이 놓인 대로 지향된 대로 요소[界]별로 철저히 안다.
'이 몸에는 땅의 요소, 물의 요소, 불의 요소, 바람의 요소가 있다.'라고.
이와 같이 안으로 몸에서 몸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물거나, 밖으로 몸에서 몸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물거나, 안팎으로 몸에서 몸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문다.
혹은 몸에서 일어나는 현상[法]들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물거나, 몸에서 사라지는 현상들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물거나, 몸에서 일어나는 현상들과 사라지는 현상들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문다.
혹은 오직 앎(知')만이 있고 확립된 마음챙김이 있을 때 까지, '몸이 있다.'라고 마음챙김을 확고히 한다. 과정을 넘어서서 머물고, 세상에서 아무것도 움켜쥐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비구는 몸에서 몸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문다."
9. "다시 비구들이여, 비구는 묘지에 버려진 시체가 죽은 지 하루나 이틀 또는 사흘이 지나 부풀어 오르고 검푸르게 되고 고름이 가득한 것을 보게 될 것이다. 그는 자신의 몸을 돌이켜 관찰한다.
'이 몸도 이러한 속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와 같이 될 것이며, 이렇게 되는 것을 피할 수 없다.'라고.
이와 같이 안으로 몸에서 몸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물거나, 밖으로 몸에서 몸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물거나, 안팎으로 몸에서 몸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문다.
혹은 몸에서 일어나는 현상[法]들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물거나, 몸에서 사라지는 현상들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물거나, 몸에서 일어나는 현상들과 사라지는 현상들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문다.
혹은 오직 앎(知')만이 있고 확립된 마음챙김이 있을 때 까지, '몸이 있다.'라고 마음챙김을 확고히 한다. 과정을 넘어서서 머물고, 세상에서 아무것도 움켜쥐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비구는 몸에서 몸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문다.
다시 비구들이여, 묘지에 버려진 시체를 까마귀, 매, 독수리, 개, 표범, 호랑이, 자칼등에 의해서 먹혀지고, 갖가지의 벌레에 의해서 파 먹히는 것을 보게 될 것이다. 그는 자신의 몸을 돌이켜 관찰한다.
'이 몸도 이러한 속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와 같이 될 것이며, 이렇게 되는 것을 피할 수 없다.'라고.
이와 같이 안으로 몸에서 몸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물거나, 밖으로 몸에서 몸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물거나, 안팎으로 몸에서 몸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문다.
혹은 몸에서 일어나는 현상[法]들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물거나, 몸에서 사라지는 현상들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물거나, 몸에서 일어나는 현상들과 사라지는 현상들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문다.
혹은 오직 앎(知')만이 있고 확립된 마음챙김이 있을 때 까지, '몸이 있다.'라고 마음챙김을 확고히 한다. 과정을 넘어서서 머물고, 세상에서 아무것도 움켜쥐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비구는 몸에서 몸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문다.
다시 비구들이여, 묘지에 버려진 시체가 힘줄이 남 있고, 살점이 붙어 있는 채로 해골로 변해 있는 것을 보게 될 것이다. 그는 자신의 몸을 돌이켜 관찰한다.
'이 몸도 이러한 속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와 같이 될 것이며, 이렇게 되는 것을 피할 수 없다.'라고.
이와 같이 안으로 몸에서 몸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물거나, 밖으로 몸에서 몸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물거나, 안팎으로 몸에서 몸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문다.
혹은 몸에서 일어나는 현상[法]들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물거나, 몸에서 사라지는 현상들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물거나, 몸에서 일어나는 현상들과 사라지는 현상들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문다.
혹은 오직 앎(知')만이 있고 확립된 마음챙김이 있을 때 까지, '몸이 있다.'라고 마음챙김을 확고히 한다. 과정을 넘어서서 머물고, 세상에서 아무것도 움켜쥐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비구는 몸에서 몸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문다.
다시 비구들이여, 묘지에 버려진 시체가 힘줄이 남아있고 살점은 없이 핏자국만 얼룩진 채로 해골로 변해 있는 것을 보게 될 것이다. 그는 자신의 몸을 돌이켜 관찰한다.
'이 몸도 이러한 속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와 같이 될 것이며, 이렇게 되는 것을 피할 수 없다.'라고.
이와 같이 안으로 몸에서 몸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물거나, 밖으로 몸에서 몸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물거나, 안팎으로 몸에서 몸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문다.
혹은 몸에서 일어나는 현상[法]들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물거나, 몸에서 사라지는 현상들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물거나, 몸에서 일어나는 현상들과 사라지는 현상들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문다.
혹은 오직 앎(知')만이 있고 확립된 마음챙김이 있을 때 까지, '몸이 있다.'라고 마음챙김을 확고히 한다. 과정을 넘어서서 머물고, 세상에서 아무것도 움켜쥐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비구는 몸에서 몸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문다.
다시 비구들이여, 묘지에 버려진 시체가 힘줄만 남아있고 살점이나 핏자욱이 없는 채로 해골로 변해 있는 것을 보게 될 것이다. 그는 자신의 몸을 돌이켜 관찰한다.
'이 몸도 이러한 속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와 같이 될 것이며, 이렇게 되는 것을 피할 수 없다.'라고.
이와 같이 안으로 몸에서 몸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물거나, 밖으로 몸에서 몸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물거나, 안팎으로 몸에서 몸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문다.
혹은 몸에서 일어나는 현상[法]들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물거나, 몸에서 사라지는 현상들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물거나, 몸에서 일어나는 현상들과 사라지는 현상들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문다.
혹은 오직 앎(知')만이 있고 확립된 마음챙김이 있을 때 까지, '몸이 있다.'라고 마음챙김을 확고히 한다. 과정을 넘어서서 머물고, 세상에서 아무것도 움켜쥐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비구는 몸에서 몸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문다.
다시 비구들이여, 묘지에 버려진 시체의 뼈가 사방으로 흩어져 있어, 여기에 손뼈, 저기에 발뼈, 정강이뼈, 넓적다리뼈, 골반뼈, 등뼈, 가슴뼈등으로 흩어져 있는 것을 보게 될 것이다. 그는 자신의 몸을 돌이켜 관찰한다.
'이 몸도 이러한 속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와 같이 될 것이며, 이렇게 되는 것을 피할 수 없다.'라고.
이와 같이 안으로 몸에서 몸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물거나, 밖으로 몸에서 몸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물거나, 안팎으로 몸에서 몸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문다.
혹은 몸에서 일어나는 현상[法]들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물거나, 몸에서 사라지는 현상들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물거나, 몸에서 일어나는 현상들과 사라지는 현상들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문다.
혹은 오직 앎(知')만이 있고 확립된 마음챙김이 있을 때 까지, '몸이 있다.'라고 마음챙김을 확고히 한다. 과정을 넘어서서 머물고, 세상에서 아무것도 움켜쥐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비구는 몸에서 몸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문다.
다시 비구들이여, 묘지에 버려진 시체가 백골이 되어 뼈가 하얗게 변하여 조개껍데기 색깔처럼 된 것을 보게 될 것이다. 그는 자신의 몸을 돌이켜 관찰한다.
'이 몸도 이러한 속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와 같이 될 것이며, 이렇게 되는 것을 피할 수 없다.'라고.
이와 같이 안으로 몸에서 몸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물거나, 밖으로 몸에서 몸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물거나, 안팎으로 몸에서 몸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문다.
혹은 몸에서 일어나는 현상[法]들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물거나, 몸에서 사라지는 현상들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물거나, 몸에서 일어나는 현상들과 사라지는 현상들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문다.
혹은 오직 앎(知')만이 있고 확립된 마음챙김이 있을 때 까지, '몸이 있다.'라고 마음챙김을 확고히 한다. 과정을 넘어서서 머물고, 세상에서 아무것도 움켜쥐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비구는 몸에서 몸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문다.
다시 비구들이여, 백골이 되어 단지 뼈 무더기가 되어 있는 것을 보게 될 것이다. 그는 자신의 몸을 돌이켜 관찰한다.
'이 몸도 이러한 속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와 같이 될 것이며, 이렇게 되는 것을 피할 수 없다.'라고.
이와 같이 안으로 몸에서 몸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물거나, 밖으로 몸에서 몸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물거나, 안팎으로 몸에서 몸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문다.
혹은 몸에서 일어나는 현상[法]들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물거나, 몸에서 사라지는 현상들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물거나, 몸에서 일어나는 현상들과 사라지는 현상들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문다.
혹은 오직 앎(知')만이 있고 확립된 마음챙김이 있을 때 까지, '몸이 있다.'라고 마음챙김을 확고히 한다. 과정을 넘어서서 머물고, 세상에서 아무것도 움켜쥐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비구는 몸에서 몸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문다.
다시 비구들이여, 백골이 여러 해를 넘기면서 삭아 가루가 된 것을 보게 될 것이다. 그는 자신의 몸을 돌이켜 관찰한다.
'이 몸도 이러한 속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와 같이 될 것이며, 이렇게 되는 것을 피할 수 없다.'라고.
이와 같이 안으로 몸에서 몸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물거나, 밖으로 몸에서 몸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물거나, 안팎으로 몸에서 몸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문다.
혹은 몸에서 일어나는 현상[法]들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물거나, 몸에서 사라지는 현상들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물거나, 몸에서 일어나는 현상들과 사라지는 현상들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문다.
혹은 오직 앎(知')만이 있고 확립된 마음챙김이 있을 때 까지, '몸이 있다.'라고 마음챙김을 확고히 한다. 과정을 넘어서서 머물고, 세상에서 아무것도 움켜쥐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와 같이 비구는 몸에서 몸을 따라가며(이어 보면서) 머문다."
7) 법륜(dhammacakka, 法輪)을 굴림
13. 그때 Bhagava(世尊)는 5bhikkhu 에게 다음과 같이 설법했다.
「bhikkhu여! 2가지 극단[dve anta, 兩極端]이 있다. 이것을 출가한 사람[pabbajita, 出家人]은 가까이해서는[sevita, 追求) 안 된다. 무엇이 2가지 극단인가? 하나는 감각적 쾌락(kāma, 愛慾)이다. 감각적 쾌락에서 발생하는 즐거움에 몰두하는[kāma sukha lika anuyoga, 沒頭愛欲樂] 것이다. 그것은 열등(hīna, 劣等)하고, 세속(gamma, 世俗)적이고, 범부행(pothujjanika, 凡夫行)이고, 성스럽지[ariya, 聖] 못하고, 유익(atthasaṁhita, 有益)하지 못하다. 다른 하나는 자기[atta, sk. ātman, 我] 몸에 스스로 고통(kilamatha, 苦通)을 가해 발생하는 괴로움에 몰두[anuyoga dukkha, 沒頭苦] 하는 것이다. 그것 또한 성스럽지 못하고 유익하지 못하다.
bhikkhu여! 나는 이와 같은 2가지 극단을 버렸다. 그리고 Tathāgata(如來)에 의해 새로운 실천방법[majjhima paṭipada, 中道]이 분명히 깨달아졌고[abhisambuddha,圓滿自覺, 圓覺], 눈을 뜨게 하고[cakkhu karaṇī, 開眼], 알게 하고[ñāṇa karaṇi, 敎], 고요하고[upasama, 寂靜], 원만한 지혜[abhiññā, 圓滿智, 殊勝智, 勝智), 올바른 깨달음[sambodhi, 正覺, 自覺], Nibbāna(涅槃)로 인도(saṁvattati, 引導) 한다.
bhikkhu 여! 무엇이 Tathāgata(如來)에 의해 분명히 깨달아졌고[圓滿自覺], 눈을 뜨게 하고[開眼], 알게 하고[敎], 고요하고[寂靜], 원만한 지혜[圓滿智, 殊勝智, 勝智], 올바른 깨달음[正覺, 自覺], Nibbāna(涅槃)로 인도(引導)하는 새로운 실천방법[中道]인가? 그것은 성스러운 8가지 길[ariya aṭṭhṅgika magga, 聖八支道]다. 예를 들면,
① 올바른 가치관[sammā diṭṭhi, 正見]
② 올바른 의도[sammā saṅkappa, 正思]
③ 올바른 말[sammā vācā, 正語]
④ 올바른 행위[sammā kammanta, 正業]
⑤ 올바른 직업[sammā ājīva, 正命]
⑥ 올바른 노력[sammā vāyāma, 正精進]
⑦ 올바른 알아차림[sammā sati, 正念]
⑧ 올바른 마음집중[sammā samādhi, 正定]
bhikkhu여! 이것이 Tathāgata(如來)에 의해 분명히 깨달아졌고[圓滿自覺], 눈을 뜨게 하고[開眼], 알게 하고[敎], 고요하고[寂靜], 원만한 지혜[圓滿智, 殊勝智, 勝智], 올바른 깨달음[正覺, 自覺], 그리고 Nibbāna(涅槃)로 인도(引導)하는 새로운 실천방법[中道]이다.
14. bhikkhu 여! 이것이 진실로 Dukkha(苦)의 실제진리[dukkha ariyasacca, 苦聖諦]다. 태어남도 Dukkha[jāti dukkha, 生苦], 늙음도 Dukkha[jarā dukkha, 老苦], 병듦도 Dukkha[byādhi dukkha, 病苦], 죽음도 Dukkha[maraṇa dukkha, 死苦]다. 좋아하지 않는 사람과 만나는 것도 Dukkha[appiya sampayoga dukkha, 怨憎會苦], 사랑하는 사람과 헤어지는 것도 Dukkha[piya vippayoga dukkha, 愛別離苦],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는 것도 Dukkha[piccha nalabhati dukkha, 求不得苦], 요약하면 5온(pañca khandha, 五蘊)에 대한 집착 그 자체가 Dukkha(pañca khandha upādāna dukkha, 五陰盛苦]다.
bhikkhu여! 이것이 진실로 Dukkha를 일으키는 실제진리(dukkha samudaya ariya sacca, 苦集聖諦)다. 새로운 삶의 조건[puna bhava, 再生]을 형성하고, 기쁨[nandi, 歡喜, 悅喜]과 탐욕(rāga, 貪欲)을 동반하고, 여기 저기 다니면서 즐기려고 하는 욕락갈애(abhīnandanī taṇha, 欲樂渴愛)가 그것이다. 애욕갈애(kāma taṇha, 愛欲渴愛), 존재갈애[bhava taṇha, 有渴愛], 부갈애[vibhava taṇha, 富渴愛]가 그것이다.
bhikkhu여! 이것이 진실로 괴로움을 소멸시키는 실제진리[dukkha nirodha ariya sacca, 苦滅聖諦]다. 곧 갈애에 대한 탐욕을 완전히 없애고[virāga taṇha, 離貪渴愛], 갈애를 소멸하고[taṇha nirodha, 滅渴愛], 갈애를 단념하고[cāga taṇha, 斷渴愛], 갈애를 버리고[paṭinissagga taṇha, 捨渴愛], 갈애로부터 벗어나고[mutti taṇha, 解脫渴愛], 갈애에 집착하지 않는 것[anālaya taṇha, 無着渴愛]이다.
bhikkhu여! 이것이 진실로 괴로움의 소멸로 이끄는 실제진리[dukkha nirodha gāminī paṭipadā ariya sacca, 苦滅引道聖諦]다. 이것이 8정도[ariya aṭṭhaṅgiko maggo, 聖八支道]다.
① 올바른 가치관[sammā diṭṭhi, 正見]
② 올바른 의도[sammā saṅkappa, 正思]
③ 올바른 말[sammā vācā, 正語]
④ 올바른 행위[sammā kammanta, 正業]
⑤ 올바른 직업[sammā ājīva, 正命]
⑥ 올바른 노력[sammā vāyāma, 正精進]
⑦ 올바른 알아차림[sammā sati, 正念]
⑧ 올바른 마음집중[sammā samādhi, 正定]
15. bhikkhu 여! 나는 이것이 Dukkha(苦)의 실제진리[dukkha ariyasacca, 苦聖諦]라는 이전에 결코 들은 적이 없는 Dhamma(法)에 대한 안목이 생겼고[cakkhu uppjjati, 眼生], 앎이 생겼고[ñāṅa udapādi, 智生], 혜가 생겼고[paññā udapādi, 慧生], 밝음이 생겼고[vijja udapādi, 明生], 빛이 생겼다[āloka udapādi, 光生].
bhikkhu 여! 나는 이 Dukkha(苦)의 실제진리[苦聖諦]를 정확히 이해[pari jānāti, 遍知]해야 한다는 이전에 결코 들은 적이 없는 Dhamma(法)에 대한 안목이 생겼고[眼生], 앎이 생겼고[智生], 혜가 생겼고[慧生], 밝음이 생겼고[明生], 빛이 생겼다[光生].
bhikkhu 여! 나는 이 Dukkha(苦)의 실제진리[苦聖諦]를 이미 정확히 이해[遍知]했다는 이전에 결코 들은 적이 없는 Dhamma(法)에 대한 안목이 생겼고[眼生], 앎이 생겼고[智生], 혜가 생겼고[慧生], 밝음이 생겼고[明生], 빛이 생겼다[光生].
bhikkhu 여! 이것이 진실로 Dukkha(苦)를 일으키는 실제진리[dukkha samudaya ariya sacca, 苦集聖諦]다라는 이전에 결코 들은 적이 없는 Dhamma(法)에 대한 안목이 생겼고[眼生], 앎이 생겼고[智生], 혜가 생겼고[慧生], 밝음이 생겼고[明生], 빛이 생겼다[光生].
bhikkhu 여! 이것이 진실로 Dukkha(苦)를 일으키는 실제진리[苦集聖諦]는 당연히 끊어버려야 한다[pajahati, 斷]는 이전에 결코 들은 적이 없는 Dhamma(法)에 대한 안목이 생겼고[眼生], 앎이 생겼고[智生], 혜가 생겼고[慧生], 밝음이 생겼고[明生], 빛이 생겼다[光生].
bhikkhu 여! 이것이 진실로 Dukkha(苦)를 일으키는 실제진리[苦集聖諦]는 이미 끊어버렸다[斷]는 이전에 결코 들은 적이 없는 Dhamma(法)에 대한 안목이 생겼고[眼生], 앎이 생겼고[智生], 혜가 생겼고[慧生], 밝음이 생겼고[明生], 빛이 생겼다[光生].
bhikkhu 여! 이것이 진실로 Dukkha(苦)를 소멸시키는 실제진리[dukkha nirodha ariya sacca, 苦滅聖諦]라는 이전에 결코 들은 적이 없는 Dhamma(法)에 대한 안목이 생겼고[眼生], 앎이 생겼고[智生], 혜가 생겼고[慧生], 밝음이 생겼고[明生], 빛이 생겼다[光生].
bhikkhu 여! 이것이 진실로 Dukkha(苦)를 소멸시키는 실제진리[苦滅聖諦]는 당연히 증득(sacchakaroti, 證得)해야 한다는 이전에 결코 들은 적이 없는 Dhamma(法)에 대한 안목이 생겼고[眼生], 앎이 생겼고[智生], 혜가 생겼고[慧生], 밝음이 생겼고[明生], 빛이 생겼다[光生].
bhikkhu 여! 이것이 진실로 Dukkha(苦)를 소멸시키는 실제진리[苦滅聖諦]는 이미 증득(證得)했다는 이전에 결코 들은 적이 없는 Dhamma(法)에 대한 안목이 생겼고[眼生], 앎이 생겼고[智生], 혜가 생겼고[慧生], 밝음이 생겼고[明生], 빛이 생겼다[光生].
bhikkhu 여! 이것이 진실로 Dukkha(苦)의 소멸로 이끄는 실제진리[dukkha nirodha gāminī paṭipadā ariya sacca, 苦滅引道聖諦]라는 이전에 결코 들은 적이 없는 Dhamma(法)에 대한 안목이 생겼고[眼生], 앎이 생겼고[智生], 혜가 생겼고[慧生], 밝음이 생겼고[明生], 빛이 생겼다[光生].
bhikkhu 여! 이것이 진실로 Dukkha(苦)의 소멸로 이끄는 실제진리[苦滅引道聖諦]는 당연히 수행(bhāvanā, 修行)해야 한다는 이전에 결코 들은 적이 없는 Dhamma(法)에 대한 안목이 생겼고[眼生], 앎이 생겼고[智生], 혜가 생겼고[慧生], 밝음이 생겼고[明生], 빛이 생겼다[光生].
bhikkhu 여! 이것이 진실로 Dukkha(苦)의 소멸로 이끄는 실제진리[苦滅引道聖諦]는 이미 수행해 마쳤다는 이전에 결코 들은 적이 없는 Dhamma(法)에 대한 안목이 생겼고[眼生], 앎이 생겼고[智生], 혜가 생겼고[慧生], 밝음이 생겼고[明生], 빛이 생겼다[光生].
16. bhikkhu 여! 만약 내가 4가지 실제진리[catū ariya sacca, 四聖諦]를 이와 같이 3번씩 12단계로 아주 분명히[suvisududdha, 善淸淨], 있는 그대로[yathā bhūta, 如實] 알아보지[ñāṅa dassana, 智見] 못했다면, bhikkhu 여! 나는 Deva(天神), Samāra(惡魔), Brahma (梵天), Samaṇa(沙門), Brahmaṇa(婆羅門), 인간(manussa, 人間)의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스승이고[anuttara, 無上師], 스스로 올바른 깨달음을 성취하고[sammā sambuddha, 正自覺], 혼자 힘으로 원만히 깨달음을 성취[abhisambuddha, 圓滿自覺, 圓覺]했다고 스스로 선언(paṭijānāti, 宣言)할 수 없는 것이다.
bhikkhu 여! 만약 내가 4가지 실제진리[四聖諦]를 이와 같이 3번씩 12단계로 아주 분명히 있는 그대로 알아보았기[如實智見] 때문에, bhikkhu 여! 나는 Deva(天神), Samāra(惡魔), Brahma(梵天), Samaṇa(沙門), Brahmaṇa(婆羅門), 인간(人間) 세계에서 가장 뛰어나고(無上師), 스스로 올바른 깨달음을 성취하고(正自覺), 혼자 힘으로 원만히 깨달음을 성취(圓滿自覺, 圓覺)했다고 스스로 선언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나는 지견(智見)을 갖추었다. 나의 마음해탈[cetovimutti, 心解脫]은 흔들림이 없다. 이것이 나의 마지막 삶의 조건[有]이니 지금부터 다시는 새로운 삶의 토대를 갖추지 않을 것이다.
이와 같이 Bhagava(世尊)가 설법하자 5bhikkhu 는 매우 기뻐했고[attamana歡喜], Bhagava(世尊)가 한 법문[abhinadati, 法門]을 받아들였다. 이와 같이 설법(veyyākaraṇa bhaññati, 說法, 問答, 記說, 授記)이 행해지고 있을 때 Koṇḍāñña(憍陳如) 존자(āysmato, 尊者)가 먼지가 없고[viraja, 無塵], 때가 없는[vitamala, ,無垢] 법안(dhamma cakkhu, 法眼)을 얻었다. 그리하여
「발생한 Dhamma[samudaya dhamma, 生法]는 무엇이나 모두 소멸하는 Dhamma[nirodha dhamma, 滅法]다.」
라고 깨달았다.
17. Bhagava(世尊)가 진리의 수레바퀴[dhamma cakka, 法輪]을 굴리자 땅의 신[ bhumma deva, 地神]이 소리쳤다.
「Bhagava(世尊)가, 지금 Bārāṇasi Isipatana Migadāya(鹿野園)에서 최상법륜(anuttara dhammacakka, 最上法輪, 無上法輪)을 굴렸다. 이것은 Samaṇa(沙門), Brahma (梵天), Deva(天神), Samāra(惡魔), Brahmaṇa(婆羅門) 등 세상의 어느 누구도 굴리지 못한 것이다.」
땅의 신이 외치는 소리를 듣고서 Cātu mahā rājika deva(四大王神)이 외쳤다. Tāvatiṁsa deva(三十三天神)도, Yāma deva(夜摩神)도, Tusita(兜率天神)도, Nimmāna ratī(化樂天神)도, Para nimmita vasavattī(他化自在天神)도 외쳤다. 그 외침을 듣고서 Brahma kāyika(梵身天)도 외쳤다.
「Bhagava(世尊)가, 지금 Bārāṇasi Isipatana Migadāya(鹿野園)에서 최상법륜(最上法輪, 無上法輪)을 굴렸다. 이것은 Samaṇa(沙門), Brahma (梵天), Deva(天神), Samāra(惡魔), Brahmaṇa(婆羅門) 나 등 세상의 어느 누구도 굴리지 못한 것이다.」
이와 같이 그 외침은 순시간에 Brahma (梵天)까지 그 소리가 올라갔다. 그리고 그때 일천세계(dasa sahassi lika dhātu, 一千世界)가 격렬하게 진동(saṁkampi, 振動)하고 Deva(天神)의 위엄(anubhāva, 威嚴)을 능가하는 한없이 장엄한 빛[uḷāra obhasa, 莊嚴光明]이 세상에 나타났다. 그때 Bhagava(世尊)는
「오 나의 벗이여! 참으로 Koṇḍañña(憍陳如)가 깨달았다[aññāsi, 阿若, 開悟)]. 참으로 Koṇḍañña가 깨달았다.」
라고 감흥을 읊었다. 그때부터 Koṇḍañña 존자는 Aññā Koṇḍañña(阿若憍陳如)로 불리어졌다.
18. 진실로 Aññā Koṇḍañña 존자는 Dhamma(法)를 보았고[diṭṭha dhamma, 見法], Dhamma(法)를 성취했고[patta dhamma, 得法], Dhamma(法)를 알았고[vidita, dhamma, 知法], Dhamma(法)를 꿰뚫었다[pariyogāḷha dhamma, 通法]. 의심을 극복했고[tiṇṇa vicikicchā, 度疑], 불확실함을 제거했고[vigata kathaṅkhatha, 離惑], 완전히 자기확신에 도달해 두려움이 없고[vesārajja patta, 得無畏], Buddha 가르침[satthusāsana, 師敎] 이외에 다른 것은 필요없게 됐다[aparappaccaya, 無依存]. Aññā Koṇḍañña 존자가 Bhagava(世尊)에게 다음과 같이 청했다.
「Bhante(師)시여! Bhagava(世尊)시여! 저는 Bhagava(世尊)에게 출가(pabbajja, 出家)해 Upasampadā(具足戒)를 받고 싶습니다.」
Bhagava(世尊)가 말했다.
「오라 Bhikkhu 여[ehi bhikkhu, 善來比丘])! Dhamma(法)는 이미 잘 설해 놓았다[svākkhato dhamma, 善說法]. 올바르게 Dukkha(苦)를 소멸시키고자 하면 청정한 수행[brahmacariya, 梵行]을 하라.」
Aññā Koṇḍañña 존자는 이렇게 해서 Upasampadā(具足戒)를 받고 최초의 Bhikkhu 가 됐다.
19. 그때 Bhagava(世尊)는 나머지 Bhikkhu에게도 Dhamma(法)를 설했다. 그때 Vappa 존자와 Bhaddiya 존자가 먼지가 없고, 때가 없는 법안(法眼)을 얻었다. 그리고
「발생한 Dhamma[生法]는 무엇이나 모두 소멸하는 Dhamma[滅法]다.」
라고 깨달았다.
진실로 두 존자는 Dhamma(法)를 보았고[見法], Dhamma(法)를 성취했고[得法], Dhamma(法)를 알았고[知法], Dhamma(法)를 꿰뚫었다[通法]. 의심을 극복했고[度疑], 불확실함을 제거했고[離惑], 완전히 자기 확신에 도달해 두려움 없게 되고[得無畏], Buddha 가르침[師敎] 이외에 다른 것은 필요없게 됐다. 그들은 Bhagava(世尊)에게 다음과 같이 청했다.
「Bhante(師)시여! Bhagava(世尊)시여! 저는 Bhagava(世尊)에게 출가(出家)해 Upasampadā(具足戒)를 받고 싶습니다.」
Bhagava(世尊)가 말했다.
「오라 Bhikkhu 여! Dhamma(法)는 이미 잘 설해 놓았다[善說法]. 올바르게 Dukkha(苦)를 소멸시키고자 하면 청정한 수행(梵行)을 하라.」
두 존자는 이렇게 해서 Upasampadā를 받았다.
Bhagava(世尊)는 탁발(piṇḍā, 托鉢) 해 온 음식을 먹고 난 뒤, 다시 나머지 Bhikkhu 에게 Dhamma(法)를 설했다. 이렇게 Bhagava(世尊)와 Bhikkhu는 3명이 탁발해 온 것으로 6명이 생활했다. 그리하여 Mahānāma 존자, Assaji 존자가 먼지가 없고, 때가 없는 법안(法眼)을 얻었다. 그리하여
「발생한 Dhamma[生法]는 무엇이나 모두 소멸하는 Dhamma[滅法])이다.」
라고 깨달았다.
진실로 두 존자는 Dhamma(法)를 보았고[見法], Dhamma(法)를 성취했고[得法], Dhamma(法)를 알았고[知法], Dhamma(法)를 깊이 꿰뚫었다[通法]. 의심을 극복했고[度疑], 불확실함을 제거했고[離惑], 완전히 자기 확신에 도달해 두려움 없게 되고[得無畏], Buddha 가르침[師敎] 이외에 다른 것은 필요없게 됐다. 그들은 Bhagava(世尊)에게 다음과 같이 청했다.
「Bhante(師)시여! Bhagava(世尊)시여! 저는 Bhagava(世尊)에게 출가(出家)해 Upasampadā( 具足戒)를 받고 싶습니다.」
Bhagava(世尊)가 말했다.
「오라 Bhikkhu 여! Dhamma(法)는 이미 잘 설해 놓았다[善說法]. 올바르게 Dukkha(苦)를 소멸시키고자 하면 청정한 수행[梵行)을 하라.」
두 존자는 이렇게 해서 구족계를 받았다.
8) 무아법문(anttaparyyāyo, 無我法門)
20. 그때 Bhagava(世尊)는 5Bhikkhu 를 불러 말했다.
Bhikkhu여! rūpa(色)는 anatta(無我)다. 만일 Rūpa가 atta(我)라면 Rūpa에 병(ābādha, 病)이 생기지 않아야 하고, Rūpa(色)를 내가 원하는 대로 이렇게도 저렇게도 할 수 있어야[labbhati, 可能] 한다. 그러나 Bhikkhu 여! 어떤 것이라도 Rūpa(色)는 Anatta(無我)다. 그래서 Rūpa(色)에 병이 생기고, Rūpa(色)를 내가 원하는 대로 이렇게도 저렇게도 할 수 없는 것이다.
Bhikkhu 여! Vedanā(受)는 Anatta(無我)다. 만일 Vedanā(受)가 Atta(我)라면 Vedanā-(受)에 병이 생기지 않아야 하고, Vedanā(受)를 내가 원하는 대로 이렇게도 저렇게도 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Bhikkhu 여! 어떤 것이라도 Vedanā(受)는 Anatta(無我)다. 그래서 Vedanā(受)에 병이 생기고, Vedanā(受)를 내가 원하는 대로 이렇게도 저렇게도 할 수 없는 것이다.
Bhikkhu 여! Saññā(想)는 Anatta(無我)다. 만일 Saññā(想)가 Atta(我)라면 Saññā(想)에 병이 생기지 않아야 하고, Saññā(想)를 내가 원하는 대로 이렇게도 저렇게도 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ㅂ힉 쿠 여! 어떤 것이라도 Saññā(想)는 Anatta(無我)다. 그래서 Saññā(想)에 병이 생기고, Saññā(想)를 내가 원하는 대로 이렇게도 저렇게도 할 수 없는 것이다.
Bhikkhu 여! Saṅkhāra(行)는 Anatta(無我)다. 만일 Saṅkhāra(行)가 Atta(我)라면 Saṅkhāra(行)에 병이 생기지 않아야 하고, Saṅkhāra(行)를 내가 원하는 대로 이렇게도 저렇게도 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Bhikkhu 여! 어떤 것이라도 Saṅkhāra(行)라는 Anatta(無我)다. 그래서 Saṅkhāra(行)에 병이 생기고, Saṅkhāra(行)를 내가 원하는 대로 이렇게도 저렇게도 할 수 없는 것이다.
Bhikkhu 여! Viññāṇa(識)는 Anatta(無我)다. 만일 Viññāṇa(識)가 Atta(我)라면 Viññāṇa(識)에 병이 생기지 않아야 하고, Viññāṇa(識)를 내가 원하는 대로 이렇게도 저렇게도 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Bhikkhu 여! 어떤 것이라도 Viññāṇa는 Anatta(無我)다. 그래서 Viññāṇa(識)에 병이 생기고, Viññāṇa(識)를 내가 원하는 대로 이렇게도 저렇게도 할 수 없는 것이다.
21. Bhkkhu 여! 어떻게 생각하느냐?
Rūpa(色)는 Anicca(無常)인가?
Bhante(師)시여! Anicca(無常)입니다.
그러면 만일 어떤 것이든지 Anicca(無常)라면 그것은 Dukkha(苦)인가 Sukha(樂)인가?
Bhnate(師)시여! Dukkha(苦)입니다.
그러면 만일 어떤 것이든지 Anicca(無常)하고, Dukkha(苦)하고, 변하는 Dhamma[vipariṇāma dhamma, 變法]를 이것은 나[eso aha asmi, 我]이고, 나의 것[etaṁ mama, 我所]이고, 나의 Atta[eso me atta, 我我]라고 볼[samanupassati, 看做] 수 있겠는가?
Bhnate(師)시여! 그렇게 볼 수 없습니다.
Bhikkhu 여! 어떻게 생각하느냐? Vedanā-(受)는 Anicca(無常)인가?
Bhnate(師)시여! Anicca입니다.
그러면 만일 어떤 것이든지 Anicca(無常)라면 그것은 Dukkha(苦)인가 Sukha(樂)인가?
Bhnate(師)시여! Dukkha(苦)입니다.
그러면 만일 어떤 것이든지 Anicca(無常)하고 Dukkha(苦)하고, 변하는 것[變法]을 이것은 나(我)이며, 나의 것[我所]이며, 나의 Atta[我我]라고 볼 수 있겠는가?
Bhnate(師)시여! 그렇게 볼 수 없습니다.
Bhikkhu 여! 어떻게 생각하느냐? Saññā(想)는 Anicca(無常)인가?
Bhante(師)시여! Anicca(無常)입니다.
그러면 만일 어떤 것이든지 Anicca(無常)라면 그것은 Dukkha(苦)인가 Sukha(樂)인가?
Bhante(師)시여! Dukkha(苦)입니다.
그러면 만일 어떤 것이든지 Anicca(無常)하고, Dukkha(苦)하고 변하는 것[變法]을 이것은 나[我]이고, 나의 것[我所]이고, 나의 Atta[我我]라고 볼 수 있겠는가?
Bhnate(師)시여! 그렇게 불 수 없습니다.
Bhikkhu 여! 어떻게 생각하느냐? Saṅkhāra(行)는 Anicca(無常)인가?
Bhnate(師)시여! Anicca(無常)입니다.
그러면 만일 어떤 것이든지 Anicca(無常)라면 그것은 Dukkha(苦)인가 Sukha(樂)인가?
Bhnate(師)시여! Dukkha(苦)입니다.
그러면 만일 어떤 것이든지 Anicca(無常)하고, Dukkha(苦)하고, 변하는 것[變法]을 이것은 나[我[이고, 나의 것[我所]이고, 나의 Atta[我我]라고 볼 수 있겠는가?
Bhnate(師)시여! 그렇게 볼 수 없습니다.
ㅂ힉 쿠 여! 어떻게 생각하느냐? Viññāṇa(識)는 Anicca(無常)인가?
Bhnate(師)시여! Anicca(無常)입니다.
그러면 만일 어떤 것이든지 Anicca(無常)라면 그것은 Dukkha(苦)인가 Sukha(樂)인가?
Bhnate(師)시여! Dukkha(苦)입니다.
그러면 만일 어떤 것이든지 Anicca(無常)하고, Dukkha(苦)하고, 변하는 것[變法]을 이것은 나[我]이고, 나의 것[我所]이고, 나의 Atta[我我]라고 볼 수 있겠는가?
Bhnate(師)시여! 그렇게 볼 수 없습니다.
22. Bhikkhu 여! 그러므로 어떤 Rūpa(色)에 대해서도 과거(atīta, 過去)의 것이든, 현재(paccuppanna, 現在)의 것이든, 미래(anāgata, 未來)의 것이든, 내적인 것[ ajjjhatta, 內的]이든, 외적인 것[ bahiddha, 外的]이든, 거친 것[oḷārika, 麤]이든, 섬세한 것[sukhuka,(細]이든, 열등한 것[hīna, 劣]이든, 뛰어난 것[māha, 優]이든, 멀리 있는 것[dūre, 遠]이든, 가까이 있는 것[santika, 近]이든, 모든 Rūpa(色)는 내[我]가 아니고, 나의 것[我所]이 아니고, 나의 Atta[我我]가 아니라고 있는 그대로[yathābhūta, 如實) 올바른 지혜[sammā paññā, 正慧]로 보아야 한다.
Bhikkhu 여! 그러므로 어떤 Vedanā-(受)에 대해서도 과거의 것[過去]이든, 현재의 것[現在]이든, 미래의 것[未來]이든, 내적인 것[內的]이든, 외적인 것[外的]이든, 거친 것[麤]이든, 섬세한 것[細]이든, 열등한 것[劣]이든, 뛰어난 것[優]이든, 멀리 있는 것[遠]이든, 가까이 있는 것[近]이든, 그 모든 Rūpa(色)는 내[我]가 아니고, 나의 것[我所]이 아니고, 나의 Atta[我我]가 아니라고 있는 그대로[如實] 올바른 지혜[正慧]로 보아야 한다.
Bhikkhu 여! 그러므로 어떤 Saññā(想)에 대해서도 과거의 것[過去]이든, 현재의 것[現在]이든, 미래의 것[未來]이든, 내적인 것[內的]이든, 외적인 것[外的]이든, 거친 것[麤]이든, 섬세한 것[細]이든, 열등한 것[劣]이든, 뛰어난 것[優]이든, 멀리 있는 것[遠]이든, 가까이 있는 것[近]이든, 그 모든 Rūpa(色)는 내[我]가 아니고, 나의 것[我所]이 아니고, 나의 Atta[我我]가 아니라고 있는 그대로[如實] 올바른 지혜[正慧]로 보아야 한다.
Bhikkhu 여! 그러므로 어떤 Saṅkhāra(行)에 대해서도 과거의 것[過去]이든, 현재의 것[現在]이든, 미래의 것[未來]이든, 내적인 것[內的]이든, 외적인 것[外的]이든, 거친 것[麤]이든, 섬세한 것[細]이든, 열등한 것[劣]이든, 뛰어난 것[優]이든, 멀리 있는 것[遠]이든, 가까이 있는 것[近]이든, 그 모든 Rūpa는 내[我]가 아니고, 나의 것[我所]이 아니고, 나의 Atta[我我]가 아니라고 있는 그대로[如實] 올바른 지혜[正慧]로 보아야 한다.
Bhikkhu 여! 그러므로 어떤 Viññāṇa(識)에 대해서도 과거의 것[過去]이든, 현재의 것[現在]이든, 미래의 것[未來]이든, 내적인 것[內的]이든, 외적인 것[外的]이든, 거친 것[麤]이든, 섬세한 것[細]이든, 열등한 것[劣]이든, 뛰어난 것[優]이든, 멀리 있는 것[遠]이든, 가까이 있는 것[近]이든, 그 모든 Rūpa는 내[我]가 아니고, 나의 것[我所]이 아니고, 나의 Atta[我我]가 아니라고 있는 그대로[如實] 올바른 지혜[正慧]로 보아야 한다.
23. Bhikkhu여! 이와 같이 들은 것이 많은 나의 성스러운 제자[suta ariya sāvaka, 聲聞聖第子]라면, 그들은 Rūpa(色)에 대해서 싫어하고[nibbindati, 厭離], Vedanā-(受)에 대해서 싫어하고, Saññā(想)에 대해서 싫어하고, Saṅkhāra(行)에 대해서 싫어하고, Viññāṇa(識)에 대해서 싫어한다. 그것[存在]에 대해서 싫어하게 됨으로써 그것[存在]에 대한 탐욕으로부터 벗어났다[virajjati, 離貪]. 그것[存在]에 대한 탐욕으로부터 벗어났기 때문에 그것[存在]의 구속으로부터 해탈(vimuccati, 解脫)했다. 그것의 구속으로부터 해탈했기 때문에 해탈해있음[[vimuttamhī, 解脫]을 스스로 알고[ñāṇa, 智] 선언하는 것[bhavati, 有]이다.
「나의 태어남은 끝났다[jāti khīṇa, 生滅].
청정한 수행은 완성되었다[brahmacariya vusita, 梵行終].
해야할 것을 모두 실천했다.
지금 이 삶[itthatta] 이외의 다른 삶[apara]이 없다는 것을
분명하게 알았다[pajānāti, (了知].」
24. Bhagava(世尊)가 이와 같이 설하자, 기쁨으로 충만된 5Bhikkhu 는 그 기쁨[歡喜]을 Bhagava(世尊)에게 말했다. 그렇게 법문이 설해지자 5Bhikkhu는 집착(upādiyati, 執着)이 사라지고, Āsava(流漏)로부터 마음이 해탈했다[citta vimuccati, 心解脫]. 그때 이 세상에는 Arahant가 6명이 되었다.